1. 대단한 유전자의 비밀
인간의 유전자는 침팬지와 98.5% 일치한다고 한다. 그 1.5%의 작은 차이가 인간을 특별하게 만들었다. 힘도 아니고, 속도도 아닌 이 위대함의 근원은 바로 뇌였다. 인간의 뇌는 다른 동물과 비교할 수 없는 복잡함과 효율성을 가지고 있다.
2. 뇌의 제원과 비교
우리 뇌의 크기는 주먹 두 개 정도로, 무게는 약 1.5kg이다. 이 무게는 남성이 여성보다 약간 더 무겁다. 이 작은 덩어리에 담긴 정보 저장량은 어마어마하다. 평균적으로 약 2.5페타바이트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데, 이는 전 세계 도서관의 정보를 다 담고도 남을 정도다.
뇌를 건물에 비유한다면, 슈퍼컴퓨터가 2층 건물이라면 인간의 뇌는 지하 10블록에서 시작해 위로는 달까지 닿을 만큼 거대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비유를 통해 우리의 뇌가 얼마나 효율적이고 방대한지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3. 뇌는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우리의 뇌는 근육처럼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가치가 달라진다. 문무왕릉비가 처음 발견됐을 때 빨래판으로 사용되었다는 일화는 이를 잘 보여준다. 발견된 대부분의 비석이 빨래터에서 발견된 것처럼, 뇌도 사용 방법에 따라 그 가치는 하늘과 땅 차이로 나뉜다. 아인슈타인조차 뇌 용량의 10%만 사용했다고 하니, 얼마나 많은 가능성이 우리 뇌에 잠재되어 있는지 알 수 있다.
4. 뇌의 계발과 개발
‘개발’과 ‘계발’의 개념을 구분해 보자. 개발은 원래 없던 것을 새롭게 만드는 것, 예를 들어 유전지 개발과 같은 물리적 창출이다. 반면 계발은 잠재되어 있는 능력을 끌어내는 과정으로, 정신적 측면을 말한다. 체력 증진이 개발이라면, 지적 능력의 향상은 계발이라 할 수 있다.
뇌는 계발의 영역에 속한다. 원래 있던 능력을 사용하면 할수록 점점 더 발현된다. 뇌는 자꾸 쓸수록 늘어나며 그 잠재력을 보여준다.
5. 뇌를 계발하는 방법
뇌의 계발은 주로 학습과 사색을 통해 이루어진다. 학습은 정보를 쪼개고 재구조화하는 과정으로, 뇌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돕는다. 사색은 자신의 이론을 만들고, 나만의 편집본을 구성하는 과정으로, 외부에서 유입된 정보와 기존에 알고 있던 지식을 융합하는 역할을 한다.

6. 마인드맵: 최고의 뇌 계발 도구
마인드맵은 뇌의 힘을 계발하는 데 가장 탁월한 도구다. 마인드맵을 통해 우리는 정보를 쪼개고 분류하며, 다시 그 조각들을 조합할 수 있다. 이는 뇌의 운동이라 할 수 있다. 정보를 쪼개고 분류하며 조합하는 과정은 뇌의 다양한 부위를 자극하고, 창의적 사고를 확장시킨다. 따라서 뇌를 계발하는 최고의 도구는 바로 마인드맵이다.
해시태그
#뇌 #유전자 #침팬지 #뇌계발 #정보저장 #마인드맵 #뇌사용 #학습 #사색 #뇌근육 #계발과개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