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예산안] 소상공인을 위한 전주기 맞춤형 지원사업

정부는 소상공인을 위한 전주기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이는 소상공인의 경제적 어려움을 해소하고 재도약을 돕기 위한 종합적인 지원책으로, 새출발기금의 대폭 확대와 다양한 맞춤형 지원이 포함되어 있다. 이번 지원은 소상공인이 경영 전반에서 겪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를 통해 소상공인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


새출발 소상공인 지원

먼저, 새출발 소상공인 지원이 대폭 확대된다. 새출발기금은 기존 30조 원에서 40조 원+α로 증액되었으며, 소상공인이 새로운 출발을 할 수 있도록 재정적 기반을 제공한다. 또한, 경영상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에게는 점포철거 지원금이 기존 최대 250만 원에서 최대 400만 원으로 상향 조정되었다. 이는 사업을 접거나 새롭게 시작하는 소상공인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유망 소상공인 지원 강화

유망한 소상공인을 위한 지원도 강화된다. 스케일업 자금으로 전용자금 0.4조 원과 K-커머스론 0.1조 원이 제공된다. 이를 통해 성장 가능성이 높은 소상공인이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지 않고 더 큰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온누리상품권 발행 규모는 역대 최대인 5.5조 원으로 설정되어, 소상공인 매출 증대에 직접적인 기여를 할 전망이다.


경영애로 소상공인 지원

경영에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도 다양한 지원을 받게 된다. 배달·택배비 지원으로 연 최대 30만 원을 받을 수 있으며, 스마트기기와 소프트웨어(SW) 등 1.1만 개의 기기가 보급된다. 이러한 디지털화 지원은 소상공인의 경영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더불어, 금융지원 3종 세트로 전환보증 및 정책자금 상환기간이 최대 5년 연장되고, 대환대출 금리가 7% 이상에서 4.5%로 낮아진다. 이는 소상공인의 자금 부담을 덜어주고 경영 안정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정부의 소상공인 맞춤형 지원 의지

정부는 소상공인을 위한 이번 맞춤형 지원에 역대 최대 규모의 예산을 투입하였다. 이를 통해 소상공인이 초기 창업부터 경영 안정화, 재도약까지 전주기적으로 지원받을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이러한 전폭적인 지원은 소상공인들이 어려움을 극복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힘이 될 것이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