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관이 위기에 처했다. 예전과 달리 여름철 특수가 사라지며 관객 유치에 실패한 영화들이 속출하고 있다. 천만 관객을 동원했던 ‘범죄도시4’ 이후로 톱 배우들이 출연한 영화들마저 참패하는 상황이다. 대부분의 한국 영화들은 여름철에 개봉했음에도 흥행에 실패하였고, 영화관들은 손익분기점을 넘기기 어려운 상황에 처했다.
영화관의 위기, 감소하는 관객과 폐점 증가
영화 관람객 수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에도 좀처럼 회복되지 않고 있다. 현재 영화 관람객은 코로나 이전에 비해 4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했고, 이는 많은 영화관들이 폐점을 결정하는 이유가 되었다. CJ CGV는 원주 CGV와 인천 논현점을 폐점했고, 롯데시네마는 대전 둔산점의 영업 종료를 계획하고 있다. 또한 66년의 역사를 가진 대한극장마저도 적자 지속으로 인해 9월 30일 영업을 종료하였다.
영화관 위기의 원인
OTT 서비스의 보편화
영화관의 위기는 OTT(Over-The-Top) 서비스의 급성장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넷플릭스를 비롯한 다양한 OTT 플랫폼의 보편화로 인해 국내 OTT 앱 설치자 수는 3천만 명을 돌파했으며, 매년 수백만 명씩 넷플릭스 이용자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영화관을 찾는 사람들의 수가 줄어드는 직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영화 티켓 가격 상승
영화 티켓 가격의 인상도 영화관 위기를 초래한 주요 요인 중 하나다. 코로나 이전에 8천 원에서 1만 원 사이였던 영화 티켓 가격은 현재 1만 5천 원으로 상승했다. 여기에 영화관을 방문할 때 드는 간식 비용 등을 포함하면 평균 방문 비용은 약 3만 원에 이르러, 많은 관객들이 영화관 대신 OTT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OTT 서비스의 장점
OTT 서비스는 영화관 대비 여러 장점을 갖고 있다. 집에서 편하게 다양한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고, 비용 면에서도 절감 효과가 크다. 이러한 장점들이 OTT의 인기를 끌어올리며 영화관에 큰 타격을 주고 있다.
사례: 흥행 실패와 영화관 폐점
‘원더랜드’ 실패 사례
탕웨이, 수지, 박보검이라는 화려한 배우들이 주연한 영화 ‘원더랜드’는 개봉 전 열애설 등으로 많은 화제를 모았지만, 100만 관객도 동원하지 못하며 흥행에 실패했다. 이는 톱 배우들의 출연이 더 이상 흥행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로 남았다.
CJ CGV와 대한극장 폐점 사례
CJ CGV는 손실이 커지자 원주 CGV와 인천 논현점을 폐점할 수밖에 없었다. 또, 66년간 운영되었던 대한극장은 적자가 누적되며 결국 폐업을 결정하고 9월 30일 영업을 종료했다. 이와 같은 영화관 폐점 사례들은 영화관 산업의 위기를 잘 보여준다.
영화관의 생존 전략 필요
이제 영화관은 생존을 위해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 OTT와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티켓 가격을 인하하거나 다양한 프로모션을 통해 관객을 끌어들일 필요가 있다. 또한 관객 경험을 강화할 수 있는 새로운 콘텐츠와 이벤트 기획이 요구된다. 영화관이 관객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지 못한다면, 위기 상황은 계속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