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날 더 먹어야만 할까? 은총을 더 구해야만 할까?
여름이 되면 많은 이들이 복날을 맞아 보양식을 찾는다. 삼계탕과 보신탕이 대표적인 복날 음식이다. 무더운 여름을 건강하게 나기 위해 먹는다는 논리로, 그 동안 자연의 다른 무엇을 희생시켜왔던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과연 우리가 무엇을 먹어야만 여름의 더위를 다스릴 수 있을까? 정말 음식을 섭취하는 것만이 우리의 몸을 다스리는 유일한 방법일까 하는 의문이 든다.
복날 보양식, 과연 필요한가?
과거의 한국 사회를 돌아보면, 먹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절이 있었다. 일제 강점기나 한국 전쟁 등 여러 어려운 시기를 지나며 많은 사람들이 배고픔을 겪었고, 여름의 더위를 견뎌내기 위해서는 몸에 좋은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매우 중요했다. 부실한 몸으로 무더운 여름을 난다는 것은 생존을 위한 절박한 과제였다. 하지만 요즘 시대는 다르다. 영양 과다의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는 과거와 달리 지방을 태우기 위해 노력하는 시점에 와 있다. 식사를 거르기도 하고, 칼로리를 계산하며 먹는 것이 일상이 되었다.
오히려 요즘 사람들은 더위를 살을 빼는 기회로 생각하기도 한다. 꼭 더 많이 먹지 않아도, 심지어 덜 먹어도 충분히 여름을 이겨낼 수 있다는 것이 현대의 통념이 되어가고 있다.
기후 위기와 우리의 선택
뜨거운 여름, 그리고 복날의 보양식. 이런 논의는 단순히 먹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기후 위기의 본질과도 깊게 연관되어 있다. 고기 1kg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수십 kg의 곡물이 필요하다. 이것은 자원 낭비와 온실가스 배출을 초래하여 결국 더운 여름을 더욱 더 뜨겁게 만드는 결과로 이어진다.
우리는 여전히 자신이 배고픈 줄 안다. 자신의 몸이 부실한 줄 착각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급하게 먹고 배부름을 느끼기 때문에 소화할 시간이 없을 뿐이다. 배는 부른데도 더 먹으려고 하는 우리의 모습이 어디선가 잘못된 듯하다.
신앙과 보양식, 은총에 은총을 더하는 시대?
이 논리는 신앙의 세계에서도 유사하게 적용된다. 이미 우리는 하느님께 받은 은총이 넘친다. 그러나 여전히 더 많은 은총을 구하려고 한다. 마치 더 많이 먹어야 몸이 건강해질 것이라는 착각처럼, 더 많이 기도하고 더 많은 은총을 받아야만 한다는 생각이 강하다. 하지만 이미 받은 은총만으로도 우리는 충분히 충만한 삶을 누릴 수 있다.
하느님께서는 우리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수단이 아니다. 하느님은 우리가 무엇이 필요한지 이미 알고 계시며, 과도한 욕심은 오히려 우리의 신앙을 왜곡시킬 수 있다.
더하기보다 빼기와 나누기의 논리
지금 필요한 것은 더하기가 아니다. 오히려 빼기와 나누기의 논리가 필요하다. 우리의 삶은 충분히 넘치고 있다. 먹는 것, 쓰는 것, 그리고 이미 입은 은총까지도 말이다. 이제 우리는 무엇을 더 먹고, 더 가져야 하는지 생각하는 대신, 무엇을 뺄 수 있고 나눌 수 있는지 고민해야 한다. 삶에서 필요 이상의 것을 정리하고, 나누는 실천을 통해 더욱 의미 있는 복날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 어떨까?
해시태그
#복날 #보양식 #삼계탕 #보신탕 #과소비 #기후위기 #신앙 #은총 #나눔 #더하기_대신_빼기 #환경_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