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우파(New Right)의 정의와 이념
신우파(New Right)의 등장
신우파는 1980년대 영국과 미국에서 등장한 정치적 이념이다. 당시 영국의 마거릿 대처 정부와 미국의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가 이 기조를 주도하며 세계적으로 확산되었다.
이념적 배경
신우파는 신자유주의와 신보수주의의 융합으로, 두 가지 주요 이념을 기반으로 한다.
- 신자유주의(New Freedom)
- 전통적 자유주의 가치를 계승했다.
- 개인주의와 제한적인 정부, 자유시장을 강조한다.
- 신보수주의(Neo-conservatism)
- 사회적, 종교적, 도덕적 보수주의에 기초하여 질서와 권위를 중시한다.
- 작은 정부와 시장기구를 지향하며 인위적 평등을 배제하고 재산권을 우선시한다.

🌍 신우파의 확산
국가별 차이
- 영국과 미국
1980년대에 주요 정책 기조로 자리 잡았다. - 기타 국가들
오스트레일리아, 크로아티아,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 뉴질랜드, 루마니아, 한국 등에서 각기 다른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한국에서의 신우파 등장
- 2000년대 중반 진보 세력 독주를 견제하려는 움직임으로 나타났다.
- 기존 우파의 부패 이미지를 극복하고자 뉴라이트 운동이 활성화되었다.

🇰🇷 한국에서의 신우파 운동
뉴라이트 운동의 시작
- 2004년경부터 본격화되었다.
- 기존 보수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시도로 등장했다.
- 주요 단체로는 뉴라이트 전국연합(자유주의연대), 뉴라이트 네트워크, 선진화정책운동 등이 있다.
대표 인사 및 사건
- 자유주의연대 출범 (2002년)
- 운동권 출신 인사들이 주도하며 보수 개혁을 목표로 했다.
- 박효종 교수의 바른사회시민회의 (2002년)
- 교과서포럼 출범 및 건국절 논란을 촉발시켰다.
-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임명 논란
- 뉴라이트의 역사관이 재조명되며 친일 논란이 불거졌다.

🌑 신우파의 쇠퇴와 논란
이명박 정부 이후 쇠퇴
- 정치적 출세를 노린 인사들로 인해 보수 개혁의 순수성이 상실되었다.
- 보수 쇄신 체계 확립에도 실패하며 영향력을 잃었다.
‘친일’ 논란
- 2019년 출간된 《반일 종족주의》로 인해 ‘뉴라이트=친일’이라는 낙인이 찍혔다.
건국절 논란
- 대한민국 건국 시점을 두고 1948년 8월 15일과 1919년 임시정부 수립 사이의 논란이 심화되었다.
- 뉴라이트의 건국절 제안으로 사회적 갈등이 증폭되었다.
현재
- 정치적 변질과 논란으로 신우파는 쇠퇴했으나, 역사적 논쟁과 이념적 논의의 한 축으로 여전히 존재감을 유지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