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하는 한국 사회, 그 비극의 통계

한국인의 죽음: 자살이 가장 큰 문제였다

2014년 통계에 따르면, 한국에서 하루 평균 많은 사람들이 여러 가지 이유로 사망했다. 그 중에서도 자살은 가장 큰 사망 원인이었다. 한국에서는 하루에 38명이 자살로 목숨을 잃었으며, 이는 살인 범죄(1명), 산재사고(5명), 부주의한 운전과 음주운전(13명)보다 월등히 높은 수치였다. 특히 30대 이하의 사망 원인 1위가 자살로 나타나며, 이는 사회적 문제가 깊이 뿌리박혀 있음을 보여준다.

2012년 상반기 라디오방송에서 “42분당 1명”이 자살을 시도한다는 통계가 발표된 적이 있었는데, 이는 한국 사회의 자살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지 잘 보여주는 대목이었다. 수능 시험 전후로 아이들이 줄을 서서 극단적 선택을 한다는 보도도 들려오곤 했다. 이는 ‘행복하게 뛰어라’는 구호와 달리, 경쟁과 스트레스 속에 내몰리는 아이들의 현실을 비춘다.


암과 직장 스트레스: 끝없는 싸움

40대와 50대의 가장 큰 사망 원인은 암이었다. 이들은 “정신 차리고 살아보자”며 열심히 살아보려 하지만, 식습관과 끝없는 일, 스트레스, 피로가 겹쳐 직장암과 같은 심각한 질병에 노출되곤 했다. 끝없이 일하는 머리 셋 달린 용과도 같은 상황 속에서 그들은 극한의 스트레스와 피로에 시달렸다.


청소년 자살: 계속해서 증가하는 문제

청소년 자살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 15세에서 19세 사이 청소년들의 스트레스 지수는 2008년 60%에서 2010년 70.3%로 크게 증가했다. 청소년들의 주요 고민거리는 공부(55%), 외모와 건강(17%), 직업(10%)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2002년에는 직업에 대한 고민이 5%였던 것과 비교하면,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점차 커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청소년 자살률은 OECD 국가 중에서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세계 2위를 기록하고 있다. 한국건강증진센터에 따르면, 자살의 주요 이유는 성적과 진학 문제(53.4%), 가정 불화(12.6%), 경제적 어려움(12.6%), 외로움(11.2%) 등으로 나타났다. 이는 물질적 행복 지수가 4위임에도 불구하고, 청소년의 공부 시간이 하루 평균 7시간 50분으로 세계 1위라는 사실과 함께 주목할 만한 대목이다.

또한, 청소년들 사이에서 모방 자살이 치명적으로 퍼지고 있다는 점도 문제였다. 2016년 청소년 통계에 따르면, 청소년 사망 원인 1위가 자살로 나타났으며, 이는 그들의 심리적 불안정성을 잘 드러내고 있다.


세계 자살 예방의 날: 예방의 필요성

매년 9월 10일은 세계 자살 예방의 날로, 국제자살예방협회(IASP)와 세계보건기구(WHO)가 2003년에 공동으로 제정했다. 9월은 자살율이 가장 높은 달로, 일본의 조사에 따르면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고 새 학기가 시작되면서 자살율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고독감과 새로운 환경에 대한 부담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사회적 문제 역시 자살율 증가에 큰 영향을 미친다. 빈부 격차와 소외, 고령화로 인한 외로움, 입시와 취업 스트레스, 그리고 실업 등이 자살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는 한국 사회가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 더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해시태그

#자살 #한국사회문제 #청소년스트레스 #자살예방의날 #빈부격차 #고령화 #입시스트레스 #암 #직장스트레스 #청소년자살 #모방자살 #사회적고립 #정신건강 #사망원인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