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조직원들은 전도사인가, 용병인가?

조직의 성공은 구성원들이 얼마나 조직에 헌신하고 있는지에 달려 있다. 그러나 모든 구성원이 조직의 이상과 목표에 전적으로 동의하고 헌신하지는 않는다. 어떤 이들은 보수를 위해, 즉 ‘용병’으로서 일하고, 다른 이들은 조직의 가치와 신념을 믿고 전파하는 ‘전도사’로서 일한다. 이러한 구분은 조직의 방향성과 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경영자는 이 둘을 명확히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전도사와 용병: 조직 내 역할과 특성

전도사(evangelist): 조직의 가치를 전파하는 헌신자

전도사는 조직의 이상을 실천하고 신념을 전파하는 구성원이다. 이들은 조직이 추구하는 가치에 깊이 공감하며, 단순히 일을 수행하는 수준을 넘어서 조직의 철학과 비전을 신념으로 삼는다. 전도사는 자신이 하는 일을 통해 조직의 가치를 실현하고자 하며, 이를 동료들에게도 전파한다. 그들은 ‘로열 전사’로 불릴 만큼 조직에 대한 충성심과 헌신이 강하다. 이러한 전도사들은 조직이 성장할 때 함께 성장하며, 보수 이상의 가치를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경영 측면에서 볼 때, 전도사는 ‘가치’ 지향적인 경영에 잘 맞는다. 보상보다 조직이 추구하는 목적과 철학이 이들의 동기 부여 요인이다. 경영자가 조직의 철학을 명확히 전달하고, 이를 실천하는 환경을 조성할 때, 전도사는 자신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한다.

용병(mercenary): 보수를 위한 충성

용병은 돈을 받고 전쟁에 임하는 병사와 같은 존재다. 조직에 헌신하지 않고, 보수를 주요 동기로 삼는 사람들을 의미한다. 용병들은 맡은 일을 철저히 해내지만, 그 동기는 순수한 금전적 보상에 있다. 보수가 충분히 주어진다면 최선을 다하겠지만, 그 이상으로 조직의 가치나 비전에 깊은 관심을 두지 않는다. 용병은 이익을 위해 임무를 완수하는 만큼, ‘보수’ 지향적 경영이 이들의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경영자는 용병들의 이러한 특성을 활용하여 명확한 목표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보상 체계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단, 보상이 충분하지 않거나 신뢰가 떨어지면 이들은 언제든지 떠날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중요하다.


전도사와 용병의 공통점과 차이점

전도사와 용병 모두 주어진 임무를 반드시 수행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그 이유는 매우 다르다. 전도사는 조직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서, 용병은 금전적 보상을 위해서 일한다. 이 둘은 처음부터 구분될 수 있지만, 경영자의 리더십과 조직 문화에 따라 전도사가 용병이 될 수도, 용병이 전도사가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경영자가 조직 내에서 신뢰와 공감대를 충분히 형성하면, 용병들도 조직의 가치에 동참하여 전도사로 변모할 수 있다. 반대로, 경영자가 조직의 가치를 지속적으로 강조하지 않고 보상만을 중심으로 경영하면, 전도사도 용병으로 변할 가능성이 있다. 이처럼 조직 내에서 구성원의 헌신과 동기를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따라 이들의 역할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진짜 용병: 목표와 보상이 명확하면 헌신하는 병사

용병이라고 해서 항상 조직에 불이익을 주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명확한 목표와 보상을 제시했을 때 진정한 용병은 자신의 목숨을 걸고서라도 임무를 완수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들은 배신하지 않고, 약속한 임무를 확실하게 이행하며, 자신의 역할에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용병은 철저히 자신의 계약 조건에 따라 일하기 때문에, 관리자는 명확한 지시와 보상을 통해 그들의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다만, 진짜 용병들은 지나친 관리와 감시에 대해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 이들은 자신이 맡은 일을 철저히 수행하고 있다는 자부심이 있기 때문에, 경영자가 지나치게 세세한 부분까지 간섭하거나 신뢰하지 않는다는 태도를 보이면 오히려 동기 부여가 떨어질 수 있다.


짝퉁 용병: 조직을 갉아먹는 가장 큰 위험 요소

조직에서 가장 주의해야 할 유형은 짝퉁 용병이다. 이들은 조직의 가치를 실현하지 않으면서도, 용병처럼 일을 제대로 하지도 않는다. 짝퉁 용병은 자신을 전도사로 가장하거나, 매우 능력 있는 인물처럼 보이려 하지만, 실제로는 전문성도 없고 직업의식도 부족하다. 이러한 사람들은 조직에 불필요한 비용과 리스크를 증가시키는 주범이 될 수 있다.

짝퉁 용병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들은 자신의 받을 대우에만 관심이 있고, 조직의 가치나 임무에 대해서는 크게 신경 쓰지 않는다. 둘째, 자신이 직면할 위험에만 집중하며, 실제로는 일을 제대로 해내지 못한다. 셋째, 겉모습만 번지르르하게 포장하고, 말은 많지만 행동은 따르지 않는다. 이들은 눈에 보이는 것과는 달리 진정성이 부족한 사람들이다.

경영자는 짝퉁 용병을 구별해내는 능력이 필요하며, 이들이 조직에 미치는 해악을 줄이기 위해 주의 깊게 관리해야 한다.


참고 사례: 리샤오라이와 스탠퍼드 스타트업 바이블

비트코인 갑부 리샤오라이는 조직 내에서 전도사와 용병의 차이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그가 이끌었던 조직에서도 이러한 개념이 잘 드러난다. 또한, 스탠퍼드 스타트업 바이블은 스타트업 경영에서 전도사와 용병의 역할을 명확히 설명해주는 자료로, 조직 내에서 어떤 식으로 인재를 관리해야 하는지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