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어떻게 세계적인 스트리밍 공룡이 되었나


넷플릭스는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1억 9,300만 명 이상의 가입자를 보유한 거대한 인터넷 스트리밍 서비스 기업으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이 기업의 시작은 1997년, DVD 대여 서비스에서 출발했다. 넷플릭스의 성공 비결은 그들의 혁신적인 사업 모델과 기술, 그리고 시청자 경험을 변화시킨 콘텐츠 배급 방식에 있다. 넷플릭스는 비디오 대여 시장에서 출발해 스트리밍 시장의 선두주자로 우뚝 섰으며, 이는 설립자들의 비전과 끊임없는 혁신에 힘입은 결과이다.

설립의 배경: 두 창립자의 만남

넷플릭스는 리드 헤이스팅스와 마크 란돌프라는 두 설립자에 의해 탄생했다. 리드 헤이스팅스는 1991년에 ‘퓨어 소프트웨어(Pure Software)’라는 소프트웨어 개발자 툴 업체를 설립한 인물이다. 그의 IT 기술 경험은 후에 넷플릭스의 혁신적인 서비스 모델을 만들 때 큰 역할을 했다. 한편, 마크 란돌프는 마이크로웨어하우스(MicroWarehouse)의 창립자로서, 그는 전자상거래와 소비자 행동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가지고 있었다.

이 두 창립자는 1997년, DVD를 우편으로 대여해주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비디오 대여 업계에 첫발을 내딛었다. 그들이 처음 시작한 이 사업은 캘리포니아의 스코츠 밸리에서 운영되었으며, 이후 본사는 캘리포니아 로스 가토스로 이전되었다. 그 당시에는 인터넷을 이용한 비디오 대여라는 개념이 매우 참신했으며, 그들의 혁신적 아이디어는 미국 내 비디오 대여 시장에서 넷플릭스를 빠르게 성장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넷플릭스의 주요 서비스


넷플릭스가 초기에 제공한 서비스는 DVD 대여 사업이었다. 1997년, 넷플릭스는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들이 DVD를 주문하면 우편으로 배송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했다. 이 서비스는 소비자들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영화를 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했다. 2007년에는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를 출시하며 비디오 온 디맨드(Video on Demand, VOD) 시장에 진출했다. 이때부터 넷플릭스는 단순한 DVD 대여 업체에서 벗어나, 인터넷을 통한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기업으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넷플릭스의 스트리밍 서비스는 매우 간편하고 다양한 기기에서 이용할 수 있다. TV 프로그램, 영화, 다큐멘터리, 그리고 넷플릭스 오리지널 콘텐츠까지 무제한으로 시청할 수 있으며, 태블릿, PC, TV, 스마트폰 등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모든 기기에서 접속 가능하다. 또한 가입 직후 1개월 동안 무료로 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어, 많은 신규 가입자 유입에 큰 도움이 되었다.

넷플릭스는 전통적인 케이블 TV와 달리 ‘무제한 시청’을 핵심으로 하여 시청자들이 원하는 시간에 언제든지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새로운 소비 트렌드를 만들었다. 2016년 1월부터는 한국에서도 서비스를 공식적으로 제공하며, 전 세계 190여 개 이상의 국가에 진출한 상태이다.


사업 연혁: 끊임없는 성장의 기록


넷플릭스는 1997년에 설립된 이후 꾸준한 성장을 이어왔다. 2002년, 넷플릭스는 기업공개(IPO)를 통해 주식을 상장하며 대규모 자본을 확보했고, 이후 2003년에는 매출액이 약 2억 7,200만 달러, 수익이 약 650만 달러에 달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2005년에는 회원 수가 420만 명에 이르렀으며, 이때부터 넷플릭스는 스트리밍 서비스로 전환하기 시작했다.

2007년, 비디오 온 디맨드 서비스를 출시하며 인터넷을 통한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시장에 진입했고, 2009년에는 다양한 기기에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넷플릭스는 컴퓨터, 스마트폰, 텔레비전, 게임기, DVD 플레이어, 셋톱박스 등 100여 개의 기기를 통해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범위를 넓혔다. 이때부터 넷플릭스는 기존의 DVD 대여 업체에서 인터넷 스트리밍 서비스 시장의 선두주자로서의 자리를 확고히 다졌다.

2020년 현재, 넷플릭스는 190여 개국에서 약 1억 9,300만 명의 가입자를 보유한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했다. 이 거대한 가입자 수와 글로벌 시장 장악력은 넷플릭스가 어떻게 비디오 대여 시장을 넘어 스트리밍 시장을 주도하게 되었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성과이다.


혁신적 사업 전개: 새로운 유통 방식과 오리지널 콘텐츠


넷플릭스의 성공적인 사업 전개는 무엇보다도 혁신적인 유통 방식과 기술적 도입 덕분이었다. 넷플릭스는 온라인에서 영화 DVD를 주문해 우편으로 대여해주는 방식에서 출발했으나, 이를 더욱 발전시켜 월정액 기반의 대여 모델을 도입했다. 월정액 모델은 대여 기한과 연체료, 배송료를 없애고, 대여 횟수에 상관없이 일정한 금액을 지불하면 무제한으로 DVD를 빌릴 수 있는 방식이었다. 이는 기존의 비디오 대여 업계에서 대여 기간과 연체료가 중요한 수입원이었던 점을 완전히 뒤집는 혁신적인 모델이었다.

또한, 넷플릭스는 2012년부터 자체 제작 콘텐츠인 ‘넷플릭스 오리지널’을 선보이기 시작했다. 대표적으로 2013년 2월 1일 독점 공개된 ‘하우스 오브 카드(House of Cards)’는 한 시즌을 한꺼번에 공개하는 방식을 통해 ‘몰아 보기’ 트렌드를 일으켰다. 이는 시청자들이 원하는 시간을 선택해 한 번에 모든 에피소드를 감상할 수 있는 자유를 제공하며, 전통적인 방송 방식과는 전혀 다른 경험을 선사했다. 그 결과, ‘하우스 오브 카드’는 언론과 시청자들의 호평을 받으며 넷플릭스의 콘텐츠 유통 혁신을 상징하게 되었다.


제휴와 시장 장악


넷플릭스는 콘텐츠 제작뿐만 아니라, 20세기 폭스 텔레비전(20th Century Fox Television)과 월트디즈니와 같은 거대 미디어 회사와의 제휴를 통해 더 많은 콘텐츠를 확보했다. 2012년, 넷플릭스는 월트디즈니와 계약을 맺고 매년 3천억 원의 판권비를 지불하면서 독점적인 콘텐츠 배급권을 확보했다. 이는 넷플릭스가 전 세계적으로 유통하는 콘텐츠의 품질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였다.

넷플릭스의 성공은 기존의 케이블망 및 위성방송 서비스업체들에도 영향을 미쳤다. 넷플릭스는 전통적인 TV 시청 방식에서 벗어나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VOD)를 제공하며, 케이블 및 위성방송 업계도 이러한 트렌드에 따라갈 수밖에 없는 환경을 만들었다. 더 이상 시청률이 가장 중요한 지표가 아니라, 가입자 수와 성장률이 더 중요한 측정 요인이 되었다.


소셜 기능 도입과 법적 변화


2013년, 넷플릭스는 페이스북과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들이 시청한 영화나 TV 프로그램을 친구들과 공유할 수 있는 소셜 기능을 도입했다. 이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페이스북 친구들이 가장 많이 시청한 콘텐츠를 확인하거나, 친구들이 시청한 동영상을 볼 수 있게 되었다. 이는 넷플릭스가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기 위한 또 다른 혁신적 시도였다.

그러나 이러한 소셜 기능 도입을 위해 넷플릭스는 법적 문제를 해결해야 했다. 1988년에 제정된 비디오사생활보호법(Video Privacy Protection Act, VPPA)은 기업이 개인의 비디오 대여 정보를 공개할 수 없도록 규정했었다. 하지만 2012년 12월, 미국 정부는 VPPA를 개정해 온라인상에서도 비디오 대여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허용하면서, 넷플릭스는 소셜 기능을 통해 사용자 경험을 한 단계 발전시킬 수 있었다.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