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궁 경기를 시청할 때, 우리는 활을 당기는 선수의 집중된 표정과 화살이 날아가 과녁에 명중하는 장면만을 주로 보게 된다. 하지만 실제 경기 현장은 우리가 TV로 보는 것과는 차원이 다르다. 발사선과 과녁 사이의 거리는 생각보다 멀며, 카메라가 보여주는 장면은 시각적으로 그 거리를 단축시켜주기 때문에 거리감을 제대로 느끼기 어렵다. 이번 글에서는 양궁 경기의 현장, 거리, 과녁의 크기, 그리고 선수들이 어떻게 그렇게 정교하게 10점을 맞출 수 있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발사선과 과녁의 거리: 얼마나 멀리서 쏘는가?
양궁 경기의 발사선과 과녁 사이의 거리는 세계양궁연맹(WA)의 표준 규정에 따라 70m로 고정되어 있다. 이는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대회부터 현재까지 남녀 모두에게 동일하게 적용되는 거리이다. 이 70m는 평소 우리가 생각하는 거리보다 훨씬 멀다. 예를 들어 시내버스를 일렬로 7대 정도 늘어놓은 길이가 약 70m이며, 이는 보잉 737 비행기 두 대를 나란히 세운 길이와도 유사하다. 이러한 예시는 양궁 선수들이 얼마나 멀리서 과녁을 맞추는지 상상해볼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한다.
하지만 70m는 올림픽의 표준 거리일 뿐, 과거에는 다양한 거리에서 경기가 진행되었다. 예전에는 90m, 70m, 50m, 30m의 거리에서 양궁 경기가 진행되었으며, 거리에 따라 난이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선수들의 집중력과 정확성이 더욱 중요하게 작용했다.
과녁의 크기: 과연 10점을 맞추는 것은 얼마나 어려울까?
양궁에서 사용하는 과녁의 전체 지름은 122cm로, 이는 성인 남성의 신장과 거의 비슷한 크기이다. 하지만 과녁의 중앙에 위치한 10점 표적의 크기는 그보다 훨씬 작다. 10점 영역의 지름은 단 12.2cm에 불과하며, 이는 일반적인 CD의 크기와 비슷하다. 더 나아가 엑스텐(X10)이라고 불리는 영역은 10점 표적의 절반 크기인 6.1cm에 불과하다. 이 엑스텐 영역은 기록을 세우거나 동점을 구분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선수들은 70m의 거리를 넘어 이 작은 표적에 정확히 맞춰야 하며, 이는 단순히 시각적인 집중만으로는 달성하기 어려운 일이다. 선수들은 훈련을 통해 시야에 들어오는 과녁의 크기와 거리를 철저하게 익히고,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감각을 발달시켜야 한다.
과녁 조준: 선수들은 무엇을 보고 쏘는가?
많은 사람들은 양궁 선수들이 활을 쏠 때, 눈으로 정확히 조준해서 과녁의 중심에 화살을 맞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시각적인 조준만으로는 70m 거리의 작은 표적을 정확히 맞출 수 없다. 선수들은 과녁을 볼 때 중앙의 노란색 부분에 집중하며, 이는 훈련을 통해 형성된 기준과 감각에 의존해 화살을 쏘는 것이다. 즉, 선수들이 조준하는 것은 눈에 보이는 중심뿐만 아니라 그동안의 훈련을 통해 형성된 몸의 감각과 일치하는 위치다.
양궁 선수들은 반복적인 훈련을 통해 형성된 ‘감’을 이용해 과녁을 조준한다. 눈으로 중심을 확인하고 화살을 쏘지만, 실제로는 몸의 기억과 감각이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선수들은 화살을 쏘는 순간, 그 결과를 예측할 수 있다.
선수들의 감각: 훈련으로 쌓은 직감
도쿄올림픽 2021 남자 양궁 단체전에서 오진혁 선수의 경험은 이러한 감각을 잘 보여주는 사례다. 당시 오진혁 선수는 경기를 마무리하는 순간, 화살을 쏘면서 “끝”이라고 중얼거렸다. 그 순간 그는 이미 자신이 10점을 맞췄다는 것을 직감했고, 실제로 그 화살은 10점에 명중하며 경기를 승리로 이끌었다. 이러한 선수들의 감각은 수많은 훈련과 경험을 통해 쌓아온 결과로, 화살이 과녁에 도달하기도 전에 이미 점수를 예측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하게 되는 것이다.
양궁의 매력: 정교한 기술과 감각의 조화
양궁은 단순히 활을 쏘는 스포츠가 아니다. 긴 거리와 작은 표적을 향해 정확히 명중시키기 위해서는 선수들의 오랜 훈련과 감각이 필요하다. 이들은 시각적인 조준뿐만 아니라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쌓아온 몸의 기억과 직감으로 경기를 승리로 이끈다. 양궁 선수들이 얼마나 정교한 기술과 감각을 통해 10점을 맞추는지를 알게 되면, 경기의 묘미와 매력을 더욱 깊이 느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