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식주의자라고 해서 모두 같은 방식으로 식단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채식주의도 다양한 분류가 있으며, 한국식품연구원의 해외식품인증지원센터와 미국 베지테리언네이션을 참고하여 정리한 체계가 대표적이다. 이러한 분류는 채식을 처음 시작하는 사람이나 관심 있는 사람들이 자신의 생활 방식에 맞는 채식을 선택하는 데 도움을 준다.
🥦 채식주의자 분류 방법
채식주의자는 크게 베지테리언(Vegetarian)과 세미(semi) 베지테리언으로 나뉜다. 베지테리언은 동물성 식품의 섭취를 엄격히 제한하며, 세미 베지테리언은 특정 육류를 선택적으로 섭취한다.
🥕 베지테리언(Vegetarian)의 세부 유형
- 비건(Vegan)
순수 채식주의자로, 어떠한 종류의 육류도 섭취하지 않는다. 동물성 식품은 물론, 꿀과 같은 간접적으로 동물에서 유래된 식품도 먹지 않는 경우가 많다. - 락토 베지테리언(Lacto-vegetarian)
비건과 비슷하지만 유제품 섭취는 허용한다. 우유, 치즈와 같은 유제품을 포함한 식단을 유지한다. - 오보 베지테리언(Ovo-vegetarian)
비건 식단에 달걀 섭취를 허용한다. 유제품은 섭취하지 않지만 달걀은 먹을 수 있다. - 락토-오보 베지테리언(Lacto-ovo-vegetarian)
비건 식단에 유제품과 달걀 모두를 허용한다.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채식주의자 유형이다.
🥗 세미(semi) 베지테리언의 세부 유형
- 폴로테리언(Pollotarian)
닭, 오리 등의 가금류는 섭취하지만, 붉은 고기는 먹지 않는다. - 페스코테리언(Pescatarian 또는 Pescetarian)
생선 및 해산물을 섭취하지만, 육류는 먹지 않는다. 오메가-3 지방산 섭취를 중시하는 사람들이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 플렉시테리언(Flexitarian)
기본적으로 채식을 하되, 허용된 기준 이하로 육류를 섭취한다. 환경 보호나 건강을 이유로 가벼운 채식을 지향하는 사람들이 선택하는 방식이다.
채식주의자 유형은 각자의 가치관, 건강 상태, 환경적 요인에 따라 선택된다. 이러한 분류를 참고하여 자신에게 맞는 채식 유형을 찾아보는 건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