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식탁에 미세플라스틱이 있다? 국내 수산물 미세플라스틱 검출 TOP 10

미세플라스틱의 위협

미세플라스틱은 5mm 이하의 작은 플라스틱 파편을 뜻한다. 이들은 주로 플라스틱 제품이 사용되고 버려진 후에 발생하며, 강한 자외선과 파도 같은 자연 풍화 작용을 통해 미세화된다. 물론 인위적인 행위 또한 주요 원인이다. 매년 수백만 톤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바다로 유입되고 있으며, 이러한 쓰레기는 결국 해양생물의 체내에 쌓이게 된다. 특히 미세플라스틱 및 플라스틱 제조 시 첨가된 화학물질이 해양 생물에서 확인되고 있다.

환경을 파괴하는 이러한 잘못된 인간의 습관은 단순히 해양 생물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다. 오염된 생물이 식탁에 오르며, 결국 인간의 건강까지 위협하게 되는 악순환을 초래한다.


국내 수산물에서 검출된 미세플라스틱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식품의약품안정평가원은 2017년부터 2019년까지 3년 동안 국내에서 유통 중인 수산물 14종 66품목에 대해 미세플라스틱 오염 수준을 조사했다. 그 결과, 총 66품목에서 평균적으로 1g당 0.47개의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되었다.


미세플라스틱이 가장 많이 검출된 수산물 TOP 10

연구에 따르면, 국내 수산물 중 미세플라스틱 검출량이 가장 높은 품목은 다음과 같다.

  1. 천일염: 1g당 2.22개
  2. 건조 중멸치: 1.03개
  3. 꼬막: 0.86개
  4. 피조개: 0.66개
  5. 전복: 0.51개
  6. 바지락: 0.43개
  7. 담치: 0.32개
  8. 새우: 0.3개
  9. 가리비: 0.24개
  10. 백합: 0.19개

수산물 종류별 미세플라스틱 검출량

수산물 종류에 따른 미세플라스틱 평균 검출량은 아래와 같다.

  • 소금: 2.22개/g
  • 건조 중멸치: 1.03개/g
  • 패류 (전복, 바지락 등): 0.07~0.86개/g
  • 갑각류 (게, 새우 등): 0.05~0.30개/g
  • 두족류 (오징어, 낙지 등): 0.03~0.04개/g

이처럼 일상적으로 소비되는 수산물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되고 있다. 우리 식탁에 오른 이러한 수산물들이 건강에 미칠 영향에 대해 경각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경고한 10대 불량식품과 건강 위험성

2005년 세계보건기구(WHO)는 현대인들이 자주 섭취하는 식품 중 건강에 해로운 ‘10대 불량식품’을 발표했다. 이 발표는 특히, 이런 식품들이 심혈관 질환, 암, 대사 질환 등 중대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경고의 의미를 담고 있었다. 아래에서는 각 식품군이 어떻게 건강에 해를 끼치는지 자세히 살펴보자.


1. 기름에 튀긴 식품

기름에 튀긴 음식은 심혈관 질병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튀김 과정에서 높은 온도로 가열된 기름은 지방산이 변질되어 몸에 해로운 트랜스지방을 생성한다. 이러한 트랜스지방은 혈관을 막아 동맥경화를 유발하고 심장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또한, 발암 물질이 포함될 가능성이 크며, 조리 중 비타민이 파괴되고 단백질이 변질되어 영양학적 가치를 떨어뜨린다. 더욱이 튀긴 음식은 장내 유익균과 유해균의 균형을 깨트려 소화 기능에 악영향을 미친다.


2. 소금에 절인 식품

김치, 젓갈, 장아찌와 같은 소금에 절인 식품은 한국 식문화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지만, 과도한 섭취는 고혈압을 유발할 수 있다. 염분은 신장에 큰 부담을 주며, 특히 신장이 소금 배출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할 경우 체액의 불균형을 초래해 고혈압이 악화될 수 있다. 또한, 후두암을 일으킬 수 있으며, 점막이 헐거나 염증이 생길 위험도 있다. 대장암의 발병률을 높이는 요소로도 지목되며, 이는 소금기가 지나치게 많은 음식을 장기간 섭취할 때 더욱 위험해진다.


3. 가공류 고기 식품

소시지, 햄과 같은 가공된 고기 식품은 보존을 위해 아질산염과 같은 발암 물질이 사용된다. 아질산염은 인체 내에서 니트로사민으로 변환될 수 있어 암 발생 위험을 증가시킨다. 또한, 이러한 식품들은 간 기능에 큰 부담을 주는 방부제가 대량 포함되어 있으며, 장기 섭취 시 간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4. 과자류 식품

과자류 식품은 맛을 내기 위해 대량의 식용향료와 색소가 사용된다. 이러한 인공 성분들은 간 기능에 부담을 주며, 특히 간에서 독소를 해독하는 과정을 방해할 수 있다. 심할 경우, 이러한 과자류는 비타민이 파괴될 수 있으며, 열량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비타민, 미네랄과 같은 필수 영양소가 부족해 영양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다만, 저온에서 구운 과자나 전밀 과자는 이러한 위험에서 제외되었다.


5. 사이다와 콜라 같은 탄산음료

탄산음료에는 인산과 탄산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체내의 철분과 칼슘을 소변으로 배출하게 만든다. 철분과 칼슘은 골격과 혈액 건강에 중요한 영양소로, 부족할 경우 빈혈이나 골다공증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탄산음료는 높은 당도를 가지고 있지만 에너지로 전환할 영양 성분은 부족하여 체내 비타민이 소모되며 졸음과 식욕 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


6. 인스턴트 식품

인스턴트 라면이나 즉석 조리 식품은 매우 높은 염분을 포함하고 있다. 이는 신장과 혈압에 부담을 주며, 방부제와 식용향료 등 여러 인공 첨가물이 간을 손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인스턴트 식품은 고열량을 자랑하지만 필수적인 영양 성분은 거의 없어서 비만과 영양 결핍을 동시에 유발할 수 있다.


7. 통조림류 식품

통조림류 식품은 생선, 육류, 과일 등 다양한 식재료가 포함되지만, 통조림 가공 과정에서 고온으로 열처리되기 때문에 비타민이 파괴되고 단백질이 변질된다. 열량은 높지만 실제로 중요한 영양 성분은 부족하여 통조림 식품을 장기간 섭취할 경우 영양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8. 설탕에 절임 과일류 식품

소금이나 설탕에 절인 과일은 아질산염과 같은 발암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함께 염분이 지나치게 높아 간에 큰 부담을 주며, 방부제와 향료가 추가로 포함되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 특히, 설탕에 절여진 과일은 혈당 수치를 급격하게 상승시켜 대사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9. 냉동 간식류 식품

아이스크림과 같은 단 냉동 간식은 당도가 높아 식사 습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과도한 당 섭취는 체내 지방 축적을 촉진하여 비만의 원인이 되며, 특히 설탕 성분이 장내 박테리아의 과도한 발효를 유발해 장내 세균의 균형을 깨트릴 수 있다. 이는 결국 소화기 문제와 면역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10. 숯불 구이류 식품

숯불에 직접 구운 닭다리 한 개는 담배 60개비에 해당하는 독성을 포함하고 있다고 밝혀졌다. 고온에서 조리된 고기는 발암 물질인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PAHs)를 생성하여 대장 속 DNA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이로 인해 간과 심장에도 부담이 가중되며, 장기적으로는 심각한 건강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