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세대별 특징 한눈에 보기

대한민국의 주요 세대는 시대적 배경과 경험을 통해 독특한 성향과 특징을 형성해왔다. 아래에서 각 세대별로 그들의 고유한 특징과 영향을 받은 사건들을 살펴본다.


베이비붐 세대: 산업화와 민주화의 주역

1955년부터 1963년 사이에 태어난 베이비붐 세대는 대한민국의 경제적 발전과 민주화 운동의 중심에 있었다. 이 세대는 마지막 주산 세대로서 수학적 능력과 주산 사용에 익숙했으며, 컴맹 1세대로 기술 변화에 처음 직면한 세대이기도 하다. 또한, 이들은 산업화의 역군으로 나라의 경제 성장에 큰 기여를 했으며, 5.16 군사정변새마을운동을 경험하며 사회적 변화를 직접 목격했다. 민주화를 위해 큰 희생을 치렀고, 이를 바탕으로 오늘날의 민주주의를 이끌어온 세대이다.


86세대: 민주화와 서구 문화의 수용

60년대에 태어나 80년대에 대학을 다닌 86세대민주화 운동을 성공적으로 이끌며, 대한민국의 정치적 변화를 주도했다. 또한, 이들은 서구 문화에 익숙해진 세대로, 다양한 글로벌 문화를 처음 접하고 이를 받아들이며 한국 사회의 문화적 개방을 이끌었다. 경제적 변화 속에서 신용카드 사용량이 가장 많은 세대로 자리 잡았으며, 6.10 항쟁 등 민주화를 위한 중요한 사건들을 겪었다.


97세대: 자유와 억압 속에서의 자기표현

1970년대 출생, 90년대 대학생인 97세대개인주의적 성향을 본격적으로 드러낸 첫 세대이다. 삐삐워크맨, PC와 같은 새로운 기기들을 경험하며 기술 변화 속에서 성장했다.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도 IMF 외환위기와 같은 경제적 억압을 경험했고, 성수대교 붕괴삼풍백화점 붕괴 같은 참사를 겪으며 불안정한 사회적 환경 속에서 자랐다.


밀레니얼 세대: 가치 중시와 공유 문화

1981년부터 1996년 사이에 태어난 밀레니얼 세대는 사회적 가치를 중시하는 경향이 강하다. 이들은 소유보다 공유를 선호하며, 물질적 소유보다는 경험과 가치를 중요시한다. 또한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하고자 하며, 글로벌 금융위기촛불집회 등 사회적 이슈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Z세대: 디지털 원주민과 독창적 경험의 추구

1997년 이후 출생한 Z세대태어날 때부터 인터넷 환경에 노출되어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라 불린다. 이들은 인플루언서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독특하고 재미있는 경험을 선호한다. 스마트폰 혁명의 혜택을 받으며 이전 세대와는 다른 방식으로 기술과 소통 방식을 진화시켜 나가고 있다.

97세대가 뛴다: 포용의 리더십을 발휘할 2020년대의 새로운 주인공

1970년대생으로서 1990년대에 대학을 입학한 ’97세대’가 이제 2020년대의 주인공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 세대는 시대적 특성과 독특한 위치로 인해 사회적, 조직적 가교 역할을 맡고 있으며, 포용의 리더십을 발휘할 가능성이 크다.


97세대란 무엇인가?

’97세대’는 1970년대에 태어나 1990년대에 대학을 다닌 사람들을 일컫는 말이다. 이들은 X세대와 일부 겹치며, X세대는 1965년에서 1980년 사이에 출생한 이들을 의미한다. 97세대는 시대의 흐름 속에서 앞선 베이비붐 세대와 86세대 사이에 끼인 ‘낀낀세대’로서, 그들의 뒤를 이어 사회적 책임을 지게 된 독특한 위치에 있다.


낀낀세대의 의미와 위치

97세대는 선배 세대인 베이비붐 세대와 86세대 사이에 자리 잡았다. 86세대는 산업화와 고도 성장기의 수혜를 누리며 장기집권을 통해 사회적, 정치적 주도권을 쥐었다. 이들은 대거 퇴직하는 시기를 맞아 외환위기 당시 조기 승진의 혜택을 누렸다. 반면, 97세대는 이러한 혜택을 거의 누리지 못하고, 뒤이어 밀레니얼 세대(1981-1996년 출생)와 Z세대(1997년 이후 출생)가 등장하면서 더욱 더 얇은 존재감을 갖게 되었다.


97세대의 특징

97세대는 “난 나야”라는 리바이스 광고 문구처럼 개인주의의 선포와 함께 등장했다. 이들은 초기 디지털 시대를 겪으며 무선호출기와 개인용 PC를 경험했고, “투명인간”이라는 별명처럼 한때 세대 담론에서 반짝하고 사라지기도 했다. 학창시절에는 개인주의와 탈이념에 심취했지만, 외환위기를 겪으며 급히 철이 들어야 했다.

경제적으로는 IMF 외환위기의 직격탄을 맞았으며, 대학 졸업 전후로 직업과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 30대에 접어들며 한국의 저성장 기조 속에서 존재감이 희미해졌고, 생존을 위한 몸부림을 치며 세대 자체가 ‘생존력의 세대’로 불리게 되었다.


조직 내에서의 위치와 어려움

조직에서는 역피라미드 구조 속에서 많은 선배와 적은 후배 사이에 낀 97세대가 있다. 이들은 업무와 역할이 점점 늘어나고, 업무에 대한 숙련도와 열정은 선배와 같지만 위상은 좀처럼 높아지지 않았다. 이들은 야근, 주말 출근, 휴가 포기 등을 자연스럽게 여겼지만, 후배들에게는 더 이상 강요할 수 없게 되었다.

또한, 윗선에서는 여전히 ‘애송이’ 취급을 받고, 아래로는 ‘뒷방 늙은이’로 여겨지는 두려움을 안고 있다. 부하 직원과의 소통에서도 어려움을 겪는데, 1980년대 중반에 태어난 후배들은 개인 일정을 중시하고, 1990년대에 태어난 신입사원들은 회식 문화에 거부감을 가지기도 한다. 97세대는 여전히 회식 자리에서 음주를 하며 후배들을 안내해야 하는 괴로움을 겪고 있으며, 부하들의 지나친 조직 눈치 보기나 불합리한 요청에 대한 거부감도 부담이 된다.

상사부일체 문화가 여전히 남아 있어 86세대 선배들에게 업무 보고를 하고, 후배들의 업무를 조율하는 가장 일찍 출근하는 세대이기도 하다.


97세대의 장점과 포용의 리더십

97세대의 가장 큰 장점은 선배의 입장을 이해하면서도 후배를 배려할 수 있는 능력이다. 이들은 선배와 후배 사이에서 가교 역할을 하며, 86세대와 밀레니얼 세대 간의 갈등을 줄이고 포용적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원동력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97세대는 앞으로 조직과 사회에서 더욱 중요한 역할을 맡을 것으로 기대된다.


#해시태그: #97세대 #포용의리더십 #낀낀세대 #개인주의 #외환위기 #역피라미드구조 #세대갈등 #가교세대 #생존력 #조직문화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