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격렬하게 아무것도 안 하고 싶다” – 현대 사회의 젊은이들의 절망과 대응

유해진의 신용카드 CF가 남긴 인상적인 대사

유해진이 등장한 신용카드 CF에서, 젊은 세대의 심리를 대변하는 듯한 인상 깊은 대사가 나왔다.

“아무것도 안 하고 싶다. 이미 아무것도 안 하고 있지만, 더 격렬하게 아무것도 안 하고 싶다.”

이 광고는 다양한 카드의 할인 혜택이 많아 복잡하고 귀찮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특히 문법을 파괴한 표현과 중독성 있는 대사는 대중에게 큰 인기를 끌며 히트했다.


비슷한 감성을 담은 웹툰 대사

이와 비슷한 표현은 여러 웹툰에서도 자주 등장한다. 대표적인 대사로는 다음과 같은 말이 있다.

“사실 별로 하는 거 없지만, 오늘은 더 적극적으로 안 할 거야.”

이 대사도 마찬가지로 ‘더 적극적으로 아무것도 안 하겠다’는 다소 역설적인 표현을 사용해, 그 자체로 공감을 불러일으키며 젊은이들의 마음을 대변했다.


절망의 단면: ‘이생망’과 ‘N포세대’

현대 사회에서 많은 젊은이들은 ‘이번 생은 망했다’는 의미의 ‘이생망’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미래에 대한 희망을 잃은 채 절망을 이야기한다. 이러한 절망은 사회적 포기의 연장선으로 이어지고 있다.

  • 3포세대: 연애, 결혼, 출산을 포기한 세대.
  • 9포세대: 연애, 결혼, 출산뿐만 아니라 내 집 마련, 인간관계, 꿈, 희망, 외모, 건강까지 포기한 세대.

이러한 현상은 단순히 경제적인 어려움뿐만 아니라, 사회 구조의 변화와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에서 비롯된 것이다.


일본의 ‘사토리 세대’

일본의 젊은이들 사이에서도 비슷한 정서가 퍼지고 있다. 이들은 ‘사토리 세대’라 불리며, 학벌, 직업, 외모 등 모든 면에서 ‘중간만 하자’는 주의가 자리 잡았다. 더 큰 목표나 야망을 갖기보다는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며 안정을 추구하는 태도를 지닌다.


중국의 ‘탕핑(躺平)’ – 누워서 저항하기

중국에서는 ‘탕핑(躺平)’이라는 개념이 급부상했다. 이는 ‘최소한의 생계비만 벌고 대부분의 시간을 누워서 보내는 것’을 의미하며, 2021년 4월 바이두 게시판에 올라온 “탕핑이 곧 정의(躺平卽是正義)”라는 글에서 시작되어 급속도로 확산되었다. ‘탕핑’은 중국 청년들 사이에서 큰 공감을 얻으며 일종의 사회적 저항이자 생존 전략으로 자리 잡았다.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