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이 다가오면 날씨는 차가워지고, 주변에서는 수험생을 응원하는 다양한 선물이 등장한다. 예전엔 ‘수능 한파’로 알려진 매서운 기온 변화가 수능의 계절적 신호로 자리 잡았었다. 하지만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해 한파 현상은 점차 줄어들고, 대신 수능 시즌을 알리는 선물이 더욱 주목받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수능 문화의 변화뿐 아니라, 세대별 응원 방식의 변화를 보여준다.
엿의 역사와 의미
수능 합격을 기원하는 대표적인 선물은 단연 엿이었다. 옛날에는 엿가락과 찹쌀떡이 불티나게 팔리며, ‘찰싹 붙으라’는 의미로 수험생에게 건네지곤 했다. 특히 시험 전날 부모들이 엿가락을 시험장 문에 붙이며 기도를 올리는 모습은 그 시대의 하나의 풍경이었다. 이는 4050 세대에게는 합격을 기원하는 추억이자 엿의 상징성을 보여주는 사례다.
이러한 엿의 의미는 조선시대부터 시작되었다. 조선 왕들은 시험 전에 두뇌 활동을 돕기 위해 엿을 섭취했으며, 엿이 주는 스트레스 완화와 소화 효능을 알았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조선왕조실록〉의 영조실록에는 과거 시험을 치르기 전 유생들이 엿을 입에 물고 시험장에 들어갔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엿은 당시부터 학업과 시험과 관련된 중요한 음식이었다.
수능 선물의 진화
엿은 1970년대까지 대학 입시 선물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했으나, 1980년대 이후 기능성이나 건강을 강조한 아이디어 상품이 등장하면서 그 자리를 서서히 내주기 시작했다. 2000년대 들어서는 건강과 실용성을 겸비한 선물들이 인기를 얻으며, 엿 대신 실용적이고 다양한 선물이 수능 시즌을 장식하게 되었다.
현대 수험생들의 선물 선호도 변화
오늘날의 수험생들은 전통적인 엿보다는 현금이나 모바일 상품권과 같은 실용적인 선물을 선호한다. 초콜릿, 마카롱, 쿠키 등 현대적이고 간편한 간식이 대세로 자리 잡았으며, 이는 의미보다는 실용성을 중시하는 젊은 세대의 가치관을 반영한다. 또한, 과한 관심보다는 무관심을 선물로 원하는 수험생들도 증가하고 있다.
변하지 않는 수능 응원의 본질
시대가 바뀌어도 변하지 않는 것은 수험생을 응원하는 마음이다. 수능을 준비하는 모든 이들이 열심히 공부한 만큼 실력을 발휘하고, 후회 없는 결과를 얻기를 바라는 마음은 예나 지금이나 똑같다. 올해 수능에서도 수험생들이 자신이 준비한 만큼의 실력을 발휘하길 기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