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샘추위가 뭐길래? 봄이 와도 봄 같지 않은 이유”

“꽃샘추위가 뭐길래? 봄이 와도 봄 같지 않은 이유”


봄이 오면 따뜻한 날씨를 기대하지만, 때때로 찾아오는 쌀쌀한 날씨가 있다. 이를 꽃샘추위라고 부른다. 꽃샘추위는 봄이 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후 현상으로, 따뜻해지던 날씨가 갑자기 차가워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시베리아 고기압이 약화되었다가 다시 강해지는 과정에서 일어난다. 이른봄에는 시베리아 고기압이 점차 힘을 잃고 물러나면서 기온이 오르지만, 때때로 다시 세력을 회복하면서 기온이 갑작스럽게 하락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마치 꽃이 피는 것을 시샘이라도 하듯 갑자기 찾아오는 추위 같아 ‘꽃샘추위’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와 비슷한 개념으로 ‘잎샘추위’도 있다. 잎이 돋아나는 시기에 갑자기 추워지는 현상을 뜻하는 말이다. 또, 꽃샘추위와 함께 불어오는 쌀쌀한 바람을 ‘꽃샘바람’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꽃샘추위는 한국에서만 쓰이는 독특한 표현이며, 다른 나라에서는 조금 다른 용어를 사용한다. 중국에서는 이를 ‘춘한(春寒)’이라 부르는데, 단순히 봄철에 느끼는 추위를 의미한다. 일본에서는 ‘하나비에(花冷え)’라는 표현이 있는데, ‘꽃추위’ 정도의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표현은 꽃샘추위만큼의 시적인 느낌을 담고 있지는 않다. 한국어의 ‘꽃샘추위’는 추위를 의인화하여 표현한 비유적인 말로, 시심(詩心)이 깃든 표현이라 할 수 있다.

꽃샘추위가 찾아올 때 자주 회자되는 표현이 있다. 바로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이다. 이는 ‘봄이 왔으나 봄 같지 않다’는 뜻으로, 중국의 4대 미인 중 하나인 왕소군의 시에서 유래했다. 그녀는 흉노족 왕에게 시집가며 쓴 시에서 “오랑캐 땅에는 꽃과 풀이 없으니, 봄이 와도 봄답지 않다(胡地無花草 春來不似春)”고 표현했다. 이는 단순한 날씨에 대한 표현을 넘어, 현실적인 어려움이나 고단한 삶을 비유할 때도 사용된다.

이와 관련해 ‘봄추위와 늙은이 건강’이라는 속담도 있다. 이는 당장은 강해 보이지만 이미 기울어진 기세라 오래가지 못한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 꽃샘추위가 강하게 찾아오지만 결국 봄날의 따뜻함을 이기지 못하고 사라지는 것처럼, 어떤 강한 기세도 결국 흐름에 따라 변화하기 마련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한편, 꽃샘추위에도 불구하고 남쪽에서는 벌써 봄꽃이 활짝 피어나 세상을 아름답게 수놓고 있다. 매화나 개나리 같은 봄꽃들은 추위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피어나며, 계절이 변하고 있음을 실감하게 한다. 추위가 다시 찾아오더라도 봄이 오는 길을 막을 수는 없다.


꽃샘추위 #봄추위 #춘래불사춘 #봄날씨 #시베리아고기압 #꽃샘바람 #잎샘추위 #남쪽봄꽃 #한파 #춘한 #하나비에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