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대학생들의 기발한 시도
2014년 9월, 두 명의 대학생이 한강을 건너기 위해 독특한 방법을 선택했다. 이들은 뗏목 대신 과자 봉지로 만든 ‘과자 배’를 이용해 한강을 건너는 실험을 시도했다. 그리고 단 30분 만에 한강을 건너는 데 성공했다. 이 시도는 당시 과자 봉지에 가득 찬 질소의 양을 풍자하며, 소비자들을 웃음과 동시에 분노하게 만들었다. 이러한 사건으로 인해 “질소를 사면 과자는 덤”이라는 우스갯소리가 퍼져 나갔다.
소비자 기만행위, 줄어든 과자와 늘어난 질소
기업들은 제품의 양을 줄이면서도 부피를 유지하기 위해 질소의 양을 늘리는 등 소비자를 기만하는 행태를 보이고 있었다. 과자의 양을 줄이는 대신 질소로 봉지를 채워넣는 방식은 소비자들의 불만을 샀다. 이는 소비자에게 진정한 가치를 제공하지 않고 겉모습만을 유지하려는 일종의 속임수였다.
소비자 속이는 눈속임, 기업들의 다른 대안
기업들이 소비자를 속이는 행태는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정부가 식품 가격 인상을 억제하면서 기업들은 대신 제품의 용량을 줄여 사실상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 예를 들어, 김의 중량은 5g에서 4.5g으로 줄었고, 핫도그의 수량은 5개에서 4개로 줄었다. 주스의 과즙 함량도 100%에서 80%로 낮아졌으며, 참치 통조림의 중량은 100g에서 90g으로 감소했다. 맥주의 용량도 375㎖에서 370㎖로 줄어드는 등 많은 제품들이 소비자 몰래 용량을 축소했다.
음식점 또한 예외는 아니었다. 돼지·소 고기값이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1인분의 고기 정량을 20~30g씩 줄이고, 공깃밥의 가격은 천원에서 이천원으로 상승시키는 등 가격 인상 효과를 내는 방법으로 소비자를 속였다.
국가별 대응 방식
눈속임 인상에 대해 다른 국가들은 어떻게 대응하고 있을까? 브라질에서는 제품 용량이 감소할 경우 이를 포장에 명확히 표시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프랑스의 대형마트인 까르푸는 용량이 줄어든 제품에 특별한 스티커를 부착하여 소비자들이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더 나아가 프랑스 정부는 제품 용량이 변경될 때 이를 소비자에게 고지하도록 의무화하는 법안을 추진하고 있다.
소비자의 입장과 현실
이와 같은 행태는 현대판 야바위와 다름없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소비자들은 이러한 기만적 행위에 대해 불만과 불안을 느끼고 있으며, 제품을 구매할 때 더욱 신중하게 선택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여 있다. 이제 소비자들은 단순히 가격만이 아니라, 제품의 용량과 실제 제공되는 가치를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 기업들이 더 이상 소비자를 속이지 않도록, 소비자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대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