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기업의 사장단 인사를 분석한 결과, 오너 일가가 얼마나 빠르고 효율적으로 사장 직책에 오르는지 알 수 있다. 이번 분석은 국내 100대 그룹의 사장단, 즉 사장, 부회장, 회장 등 총 827명의 오너 일가 중 199명의 이력을 기반으로 수행되었다.
평균 입사 연령과 승진 시점
오너 일가의 평균 입사 연령은 28.9세이며, 임원으로 승진하는 시점은 평균적으로 입사 후 5.4년 후인 34.3세이다. 사장으로 진급하는 시점은 평균 7.8년 후인 42.1세로 나타났다. 이는 오너 일가의 입사 이후 승진이 상대적으로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입사 경로와 초임 임원
오너 일가는 주로 임원으로 입사하거나 경력을 쌓고 입사하는 경우가 많다. 이번 분석에 따르면, 40명 중 19명이 경력 없이 처음부터 임원으로 입사했으며, 나머지 21명은 경력을 쌓고 입사한 것으로 드러났다. 초임 임원이 되는 데 걸리는 시간은 2세 오너는 평균 4.7년으로 34.7세에 임원에 오르며, 3세와 4세 오너는 평균 4.1년으로 32.8세에 임원에 올라 2세보다 빠르다.
승진 속도: 임원에서 사장, 사장에서 부회장까지
오너 일가의 승진 속도는 빠르다. 2세 오너들이 임원에서 사장으로 승진하는 데 평균 7.8년이 걸려 42.6세에 사장에 오르며, 3세와 4세 오너들은 평균 8.4년이 걸려 41.2세에 사장에 오른다. 또한, 사장에서 부회장으로의 승진은 2세 오너들이 평균 6.5년 만에 49.1세에 이르는 반면, 3세와 4세 오너들은 평균 4.8년 만에 46.0세에 부회장으로 승진해 더 빠른 속도를 보인다.
최연소 사장과 부회장
한화생명의 김동원 최고글로벌책임자가 올해 초 사장으로 승진했으며, 그는 1985년생으로 오너가 3세이다. 최연소 부회장은 코오롱 전략부문 대표이사인 이규호로, 그는 1984년생이며 오너가 4세이다. 그 외에도 한화그룹의 김동관(1983년생), HD현대의 정기선(1982년생), BGF의 홍정국(1982년생), 대신증권의 양홍석(1981년생) 등 1980년대생 부회장들이 대거 사장단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여성 사장단 멤버
국내 100대 그룹 사장단 중에는 총 22명의 여성 인사도 포함되어 있다. 신세계그룹의 이명희 회장, 현대그룹의 현정은 회장, 애경그룹의 장영신 회장, 대신파이낸셜그룹의 이어룡 회장, 세아네트웍스의 박의숙 회장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은 기업 경영에서 여성의 위치를 증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