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11일은 한국에서 ‘빼빼로데이’로 알려진 날이다. 이 날은 길쭉하고 가는 ‘빼빼로’ 과자를 친구나 연인들 사이에서 주고받으며 사랑과 우정을 나누는 날로 자리잡았다. 빼빼로데이는 농담처럼 시작된 소소한 이벤트였지만, 이제는 기업의 마케팅으로 인해 큰 이벤트로 성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11월 11일은 한국의 농업과 농촌의 소중함을 기념하는 ‘농업인의 날’이기도 하다. 두 기념일이 겹치면서 농업인의 날이 묻히는 상황에 대한 아쉬움도 있다.
빼빼로데이의 유래와 유행
빼빼로데이는 장난스러운 발상에서 시작되었다. 처음에는 영남 지역의 여학생들 사이에서 ‘빼빼로처럼 날씬해지자’는 의미로 빼빼로 과자를 주고받는 것이 유행이었다. 숫자 ‘1’이 길고 가는 모양이라 날씬함을 상징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유행은 신문에 기사로 실리며 점차 대중적으로 알려졌고, 현재는 연인과 친구들 사이에서 서로의 마음을 표현하는 이벤트로 자리잡았다. 심지어 11월 11일 오전 11시 11분 11초에 빼빼로를 먹으면 날씬해질 수 있다는 우스갯소리도 있을 정도로 특정한 의미를 부여하며 즐긴다.
상업화된 빼빼로데이와 롯데제과의 마케팅
빼빼로데이는 이제 단순한 이벤트를 넘어 특정 회사의 상업적 마케팅으로 활용되고 있다. 빼빼로를 생산하는 롯데제과는 1983년에 이 제품을 출시했고, 이후 1997년부터 빼빼로데이를 적극적으로 마케팅에 활용하면서 대대적인 인기를 끌게 되었다. 빼빼로데이가 전국적인 유행으로 번지자 다른 제과업체들도 길쭉한 모양의 과자를 출시하며 이와 유사한 이벤트를 진행하기 시작했다. 이처럼 빼빼로데이는 기업의 상술이 더해져 점차 상업적인 색채가 짙어진 기념일로 변모했다.
농업인의 날과 그 의미
11월 11일은 빼빼로데이뿐 아니라 ‘농업인의 날’로도 지정된 중요한 날이다. 농업인의 날은 1996년에 제정되었으며, 우리 농업과 농촌의 가치를 국민에게 알리고 농업인의 자부심을 고취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그러나 빼빼로데이가 크게 유행하면서 농업인의 날이 가지는 의미가 빛을 잃어가고 있다는 지적이 많다. 이는 빼빼로데이가 가지는 상업성과 대비되는 부분으로, 농업과 농촌의 중요성을 알리려는 본래의 의미를 되새기고자 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마무리하며
11월 11일은 빼빼로데이와 농업인의 날이라는 상반된 의미를 동시에 지니고 있다. 한편으로는 친구와 연인이 달콤한 과자를 주고받으며 관계를 돈독히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농업과 농촌의 소중함을 되새기는 기념일이다. 이 두 의미가 조화를 이루어 보다 풍성한 의미의 기념일로 자리잡을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