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세대 마케팅: ‘긍생’과 ‘페르소비’로 공략하는 5대 트렌드 전략

KT는 Z세대의 소비 및 행동 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대학내일20대연구소와 협력하여 2024년 Y트렌드 콘퍼런스를 개최하였다. 이 협력의 결과로 Z세대를 이해하고 접근하는 데 중요한 다섯 가지 트렌드 키워드가 선정되었다. 이 트렌드들은 Z세대의 독특한 소비 방식과 가치관을 반영하며, 마케팅 전략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아래에서 각 트렌드를 자세히 살펴본다.


독파민: 새로운 독서 문화의 등장

‘독파민’은 ‘독서’와 ‘도파민’의 합성어로, Z세대가 다양한 공간에서 독서를 통해 재미와 만족감을 추구하는 모습을 반영한 트렌드이다. 예를 들어, Z세대는 더 이상 도서관에만 머무르지 않고 카페나 공원 등에서도 독서를 즐긴다. 이를 통해 독서는 단순한 학습 행위가 아니라 다양한 경험과 연결된 활동으로 자리 잡고 있다.


페르소비: 소비로 나를 표현하다

‘페르소비’는 ‘페르소나’와 ‘소비’의 합성어로, 자신을 표현하기 위한 소비 행태를 의미한다. Z세대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해 MBTI 검사 결과를 공유하거나, 자신이 좋아하는 연예인 관련 상품을 구매하는 등 소비를 통해 자기 정체성을 드러낸다. 이러한 경향은 개인화된 소비 트렌드로, 브랜드가 Z세대와 소통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AI작: 인공지능으로 새로운 시작을 열다

‘AI작’은 ‘인공지능’과 ‘작업’의 합성어로, Z세대가 AI 기술을 활용하여 새로운 시작을 도모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대학생들은 인공지능을 통해 더 효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작업의 성과를 높이고 있다. 이들은 AI 도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학습과 작업의 질을 높이고, 더 나아가 자기 계발에 AI를 활용하는 모습을 보인다.


긍생: 긍정적인 삶의 태도

‘긍생’은 ‘긍정’과 ‘삶’의 합성어로, 어려운 현실을 긍정적으로 전환하려는 사고방식을 뜻한다. Z세대는 취업 등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고민보다는 긍정적인 목표를 세우고, 스스로를 격려하며 나아가려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긍정적인 사고방식은 Z세대가 어려운 상황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성장할 수 있는 힘이 된다.


친친폼: 소통의 새로운 방식

‘친친폼’은 ‘친한 친구’와 ‘플랫폼’의 합성어로, Z세대가 비공개적이고 개인적인 소통을 선호하는 경향을 의미한다. 이들은 오픈된 SNS보다는 친한 친구들끼리만 접근 가능한 비공개 SNS 플랫폼을 더 선호하며, 그 안에서 더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눈다. 이러한 소통 방식은 Z세대의 소셜 네트워크 사용에서 새로운 트렌드를 형성하고 있다.


Z세대 마케팅 적용 사례

작년에 발표된 Z세대 키워드를 활용한 마케팅 전략 중 성공 사례로는 KT의 ‘제로칼로리 캠퍼스’와 ‘Z-ourney(저니)’가 있다. ‘제로칼로리 캠퍼스’는 에너지 절약과 외부 경험을 중시하는 Z세대의 특징을 반영한 마케팅 캠페인으로, KT의 Y브랜드 팝업 ‘Y캠퍼스’에서 적용되었다. 또한, ‘Z-ourney’는 Z세대가 핫플레이스를 방문하고 이를 확산하는 현상을 반영한 전략으로, KT의 통신 서비스 ‘Y덤’ 혜택에 반영되었다. 이러한 적용 사례들은 Z세대가 선호하는 라이프스타일과 소통 방식에 맞춘 마케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