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전 100권만 읽고 토론하는 이상한 대학, 세인트존스 칼리지

🏫 세인트존스 칼리지, ‘미국 최고의 학사 과정’

세인트존스 칼리지는 뉴욕타임즈가 선정한 ‘미국 최고의 학사 과정’으로 유명한 대학이다. 이 학교는 두 개의 캠퍼스를 가지고 있다: 뉴멕시코주 산타페메릴랜드주 아나폴리스에 위치해 있다. 하지만 이곳의 재학생 수는 1,000명이 채 되지 않는다.


📚 전공도 시험도 없는 독특한 학습 시스템

세인트존스 칼리지의 학사 과정은 매우 특별하다.

  • 전공 과목이 없다.
  • 교수의 강의도 없다.
  • 시험조차 없다.

졸업 시에는 단 하나의 학위인 문학사(B.A.)를 받게 된다. 4년 동안의 커리큘럼은 단순하지만 놀랍다. 바로 ‘인문학 고전 100권’을 읽고 토론하는 것이다.

🧑‍🏫 교수는 ‘tutor’, 가르침이 아닌 동행

이곳의 교수는 학생들을 가르치는 자가 아니다. tutor(튜터)로 불리며 학생들과 함께 무한토론에 참여한다. 책을 읽고 고민하며, 스스로 답을 찾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흥미로운 점은 교수의 부재에도 휴강이 없다는 것이다.


📖 세인트존스의 고전 100권 공부법

세인트존스 칼리지 출신의 조한별이 쓴 책 ‘세인트존스의 고전 100권 공부법’에는 학교의 철학과 경험이 담겨 있다. 특히 학장이 건넨 질문,

“학교에서 행복하니?”

이 질문 속에 세인트존스의 학습 목표가 녹아있다. 물론 어려움도 존재한다.

  • 언어 구사 능력의 한계
  • 과도한 독서량
  • 문화와 성격 차이

하지만 그 과정에서 학생들은 스스로 배우고 깨닫는다.


💬 고전 토론이 주는 진짜 배움

세인트존스 칼리지의 고전 토론은 학생들에게 깊은 생각과 진짜 배움을 제공한다.
장점

  • 단순한 생각을 넘어 깊이 있는 생각으로 발전
  • 머리로 이해했으니 다 안다는 착각에서 벗어나기
  • 다름을 인정하고 경청하는 법 배우기
  • 나와 다른 생각 이해하기
    • 같은 책도 결론이 다른 이유: 배경 지식환경 차이 때문이다.

토론 진행 방식

  • 몇몇 학생이 주도하지 않고 스스로 질문하고 답을 찾아간다.
  • 학생 간에는 경어를 사용하며 논쟁을 피한다.

🧮 고전과 함께하는 수업, tutorial과 don rag

세인트존스 칼리지는 tutorial(튜토리얼)과 don rag(평가 시스템)이라는 독특한 방식을 사용한다.

tutorial

  • 수학, 과학, 음악, 언어를 고전을 통해 학습한다.
  • 심화 토론:
    • 세미나
    • 프리셉토리얼(소규모 개인 지도)

don rag

  • 고유의 평가 시스템이다. 교수들이 학생을 앞에 두고 솔직하게 평가하는 시간으로, 발전을 위한 피드백을 나눈다.

✨ 질문하고 스스로 깨달아라

세인트존스 칼리지는 단순히 책을 읽는 학교가 아니다. 질문하고 토론하며, 깊은 사유를 통해 자신만의 사고를 키우도록 이끈다. 이런 독특한 교육 방식이야말로 세인트존스 칼리지가 미국 최고의 학사 과정으로 인정받는 이유이다.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