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전 100권만 읽고 토론하는 이상한 대학, 세인트존스 칼리지

🏫 세인트존스 칼리지, ‘미국 최고의 학사 과정’

세인트존스 칼리지는 뉴욕타임즈가 선정한 ‘미국 최고의 학사 과정’으로 유명한 대학이다. 이 학교는 두 개의 캠퍼스를 가지고 있다: 뉴멕시코주 산타페메릴랜드주 아나폴리스에 위치해 있다. 하지만 이곳의 재학생 수는 1,000명이 채 되지 않는다.


📚 전공도 시험도 없는 독특한 학습 시스템

세인트존스 칼리지의 학사 과정은 매우 특별하다.

  • 전공 과목이 없다.
  • 교수의 강의도 없다.
  • 시험조차 없다.

졸업 시에는 단 하나의 학위인 문학사(B.A.)를 받게 된다. 4년 동안의 커리큘럼은 단순하지만 놀랍다. 바로 ‘인문학 고전 100권’을 읽고 토론하는 것이다.

🧑‍🏫 교수는 ‘tutor’, 가르침이 아닌 동행

이곳의 교수는 학생들을 가르치는 자가 아니다. tutor(튜터)로 불리며 학생들과 함께 무한토론에 참여한다. 책을 읽고 고민하며, 스스로 답을 찾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흥미로운 점은 교수의 부재에도 휴강이 없다는 것이다.


📖 세인트존스의 고전 100권 공부법

세인트존스 칼리지 출신의 조한별이 쓴 책 ‘세인트존스의 고전 100권 공부법’에는 학교의 철학과 경험이 담겨 있다. 특히 학장이 건넨 질문,

“학교에서 행복하니?”

이 질문 속에 세인트존스의 학습 목표가 녹아있다. 물론 어려움도 존재한다.

  • 언어 구사 능력의 한계
  • 과도한 독서량
  • 문화와 성격 차이

하지만 그 과정에서 학생들은 스스로 배우고 깨닫는다.


💬 고전 토론이 주는 진짜 배움

세인트존스 칼리지의 고전 토론은 학생들에게 깊은 생각과 진짜 배움을 제공한다.
장점

  • 단순한 생각을 넘어 깊이 있는 생각으로 발전
  • 머리로 이해했으니 다 안다는 착각에서 벗어나기
  • 다름을 인정하고 경청하는 법 배우기
  • 나와 다른 생각 이해하기
    • 같은 책도 결론이 다른 이유: 배경 지식환경 차이 때문이다.

토론 진행 방식

  • 몇몇 학생이 주도하지 않고 스스로 질문하고 답을 찾아간다.
  • 학생 간에는 경어를 사용하며 논쟁을 피한다.

🧮 고전과 함께하는 수업, tutorial과 don rag

세인트존스 칼리지는 tutorial(튜토리얼)과 don rag(평가 시스템)이라는 독특한 방식을 사용한다.

tutorial

  • 수학, 과학, 음악, 언어를 고전을 통해 학습한다.
  • 심화 토론:
    • 세미나
    • 프리셉토리얼(소규모 개인 지도)

don rag

  • 고유의 평가 시스템이다. 교수들이 학생을 앞에 두고 솔직하게 평가하는 시간으로, 발전을 위한 피드백을 나눈다.

✨ 질문하고 스스로 깨달아라

세인트존스 칼리지는 단순히 책을 읽는 학교가 아니다. 질문하고 토론하며, 깊은 사유를 통해 자신만의 사고를 키우도록 이끈다. 이런 독특한 교육 방식이야말로 세인트존스 칼리지가 미국 최고의 학사 과정으로 인정받는 이유이다.


4년 내내 고전만 읽고 토론하는 이상한 대학 – 세인트존스 칼리지

세상에는 다양한 대학이 있지만, 세인트존스 칼리지는 그 중에서도 매우 독특한 교육 방식을 자랑한다. 이 학교는 4년 동안 오직 고전 100권만을 읽고 토론하는 학사 과정을 운영한다. 뉴욕타임즈는 이를 “미국 최고의 학사 과정”으로 선정하기도 했다. 세인트존스 칼리지는 두 개의 캠퍼스로 나뉘어 있으며, 하나는 뉴멕시코주 산타페에, 다른 하나는 메릴랜드주 아나폴리스에 위치해 있다. 이곳의 재학생은 천 명이 채 되지 않을 정도로 작은 규모를 유지하고 있다.

전공도, 강의도, 시험도 없는 교육 과정

세인트존스 칼리지의 가장 큰 특징은 전공 과목도, 교수의 강의도, 시험도 없다는 점이다. 학생들은 4년 동안 인문학 고전 100권의 리스트를 읽고 토론하는 것에 집중한다. 졸업 시에는 문학사(B.A.) 학위를 하나만 받을 수 있다.

교수들은 이곳에서 전통적인 의미의 ‘가르치는 자(professor)’가 아니라, ‘튜터(tutor)’로서 학생들과 함께 토론에 참여하고, 함께 읽고 고민하는 역할을 맡는다. 흥미로운 점은 교수가 없어도 수업은 휴강되지 않는다. 이는 학생들 스스로가 배움의 주체임을 강조하는 교육 철학을 잘 보여준다.

“질문하라, 그 과정 속에서 배움을 얻어라!”

세인트존스 칼리지를 졸업한 조한별 씨는 “세인트존스의 고전 100권 공부법”이라는 책을 저술하였다. 그는 학교에서 겪었던 여러 어려움을 솔직하게 풀어냈다. 학장이 던진 “학교에서 행복하니?”라는 질문, 언어 구사 능력적 한계와 문화적, 성격적 차이에서 오는 난제, 그리고 과도한 독서량 등은 그에게 큰 도전이었다. 그러나 그는 그 과정을 통해 “질문하라, 그 과정 속에서 스스로 배움을 얻어라!”라는 교훈을 얻었다.

진짜 생각을 키우는 고전 토론

세인트존스의 고전 토론의 장점은 진짜 생각을 키우는 데 있다. 단순히 머리로 이해했다고 해서 모든 것을 안다고 착각하지 않는 법을 배우게 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매너와 에티켓을 배울 뿐 아니라, 다름을 인정하고 경청하는 법을 배우게 된다. 같은 책을 읽어도 각자의 배경 지식과 환경에 따라 다른 결론을 내릴 수 있음을 깨닫게 되는 것이다.

고전 토론은 몇몇 똑똑한 학생이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질문하고 토론하면서 스스로 답을 찾아가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학생들은 서로 경어를 사용하며, 이는 토론이 논쟁으로 변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튜토리얼과 심화 토론, 그리고 독특한 평가 시스템

일반 수업은 수학, 과학, 음악, 언어와 같은 과목을 고전을 통해 배우는 ‘튜토리얼’ 형태로 진행된다. 심화 토론은 ‘세미나’와 ‘프리셉토리얼’이라는 이름으로, 소규모 세미나와 개인 지도를 통해 자신만의 사고를 키워나간다.

세인트존스 칼리지의 독특한 평가 시스템인 ‘돈 래그(don rag)’도 눈여겨볼 만하다. 교수들이 학생을 앞에 두고 대놓고 평가하는 방식으로, 학생의 장단점을 솔직하게 논의하며 스스로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해시태그

#세인트존스칼리지 #고전토론 #미국대학 #인문학 #질문하는배움 #고전100권 #독특한교육 #학사과정 #토론배움 #튜토리얼 #돈래그 #자기성장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