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들의 꿈, 유튜버의 세계

최근 초등학생들의 장래 희망 직업 중에서 유튜버가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2022년 2월,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발표한 ‘2020년 초·중등 진로 교육 현황조사’에 따르면 초등학생들의 진로 희망 4위가 ‘인터넷 방송 크리에이터’였다. 그만큼 유튜버라는 직업은 많은 사람들에게 큰 관심을 받고 있으며, 특히 초등학생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다.


유튜버의 수익 구조와 성공 사례

유튜버로 성공하기란 쉽지 않지만, 일단 그 반열에 오르면 수익 면에서 대기업에 뒤지지 않는 연봉을 자랑할 수 있다. 많은 유튜버들이 다양한 콘텐츠로 시청자들의 사랑을 받으며 높은 수익을 올리고 있다. 그중에서도 가장 성공적인 유튜버들 중 몇 가지 사례를 살펴보자.


‘보람’의 성공

‘보람 튜브’로 유명한 유튜버 보람은 엄청난 수익을 올린 대표적인 사례다. 보람 튜브 브이로그는 하루에만 약 1억 6000만 원의 수익을 기록했으며, 2019년에는 무려 95억 원짜리 강남 빌딩을 구매했다. 당시 보람은 6살이었고, 초등학교에 입학하기도 전이었다. 보람의 유튜브 채널은 미국의 유튜브 채널 분석 사이트 ‘소셜 블레이드’에 따르면 구독자가 1757만 명에 달하며, 연간 수익은 약 31억 8000만 원에서 최대 500억 5000만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또 다른 채널인 ‘보람 튜브 토이리뷰’ 역시 구독자가 1362만 명이며, 연간 수익이 약 8억 원에서 최대 114억 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먹방 유튜버들의 이야기: 히밥과 쯔양

먹방 콘텐츠로 인기를 끈 히밥은 현재 구독자 153만 명을 보유하고 있으며, KBS 2TV 예능 프로그램 ‘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에 출연해 주목받았다. 그녀는 한 달 식비만 2000만 원 정도를 사용한다고 밝혔으며, 이는 매달 소형차 한 대를 먹어 치우는 셈이다. 또한, 회사 임원직의 월급으로 세전 1200만 원을 받는다고 공개하며, 직원 급여도 후하게 지급하고 있다고 말했다. 2019년부터 2022년까지 히밥의 누적 수익은 약 24억 원에 달하며, PPL 광고 한 건당 중형차 한 대 값에 해당하는 금액을 받는다고 한다.

또한, 먹방 유튜버 쯔양도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현재 830만 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쯔양은 자신의 수입에 대해 27살 또래의 연봉을 매달 벌어들이고 있다고 밝혔다. 이처럼 먹방 콘텐츠로 성공한 유튜버들은 어마어마한 수익을 올리고 있다.


해외 유튜버와 조민 씨의 활동

해외에서도 성공한 유튜버들의 수익은 놀라울 정도로 크다. 한 해외 유튜버는 1년에 640억 원을 벌어들이며, 하루 수익만 약 1억 6000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딸인 조민 씨는 의사 면허 취소 후 유튜버로 활동을 시작했으며, 전문 편집자를 고용해 본격적인 유튜버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1인 미디어 창작자의 수익과 상위 1% 유튜버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한병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1년 1인 미디어 창작자들의 수입 금액은 총 8588억 9800만 원으로 집계되었다. 그중 상위 1%에 해당하는 유튜버 342명의 수입은 2438억 6500만 원으로, 1인당 평균 연 수입은 약 7억 1300만 원에 달한다. 이는 전체 유튜버 수입의 25%를 차지하는 엄청난 수익이다.


결론

유튜버는 이제 단순한 직업을 넘어 초등학생들의 꿈이자 대중에게 큰 영향력을 끼치는 직업이 되었다. 성공한 유튜버들은 엄청난 수익을 올리며, 그들의 성장은 1인 미디어 산업의 발전과도 직결된다. 앞으로도 유튜브라는 플랫폼을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콘텐츠를 전 세계에 공유하며 성공의 길을 걸을 수 있을 것이다.

SNS 부자들, 그들의 성공 뒤엔 무엇이 있을까?

SNS에서 성공한 사람들의 이야기는 이제 더 이상 새로운 것이 아니다. 축구 스타 크리스티아누 호날두는 그 대표적인 예시다. 호날두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서 뛰던 시절에도 연봉보다 더 많은 수익을 SNS 광고에서 벌었다. 특히 인스타그램에서만 한 해 4000만 달러, 즉 약 500억 원을 벌어들였고, 이는 그의 선수 연봉보다 100억 원 이상 많았다. 이와 같은 성공은 4억 명이 넘는 인스타그램 팔로어 덕분에 가능했다.


유튜브, 부자의 새로운 길

1인 방송 플랫폼인 유튜브는 더 이상 스타만의 무대가 아니다. 좋은 콘텐츠만 만들면 누구나 부자가 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 미국의 지미 도널드슨, 즉 미스터비스트(MrBeast)다. 대학을 중퇴한 그는 25세의 나이에 유튜브 세계 1위 개인 유튜버가 되었다. 그의 기발한 콘텐츠, 예를 들어 남극에서 50시간 살아남기, 마트의 모든 전자 제품 사기, 한국의 ‘오징어 게임’을 재현한 영상 등은 엄청난 인기를 끌었다. 특히 오징어 게임 재현 영상은 무려 3억 회 이상의 조회 수를 기록했다. 그 결과, 미스터비스트는 한 해에 5400만 달러, 약 680억 원을 벌고 있다.


한국의 SNS 스타들, 그들의 성공 비결

한국에서도 SNS를 통해 부를 쌓은 사람들이 있다. 그중 여섯 살 소녀가 짜장 라면을 끓여 먹는 5분짜리 영상으로 아파트 한 채 값을 벌어들인 ‘보람튜브’가 유명하다. 이와 같은 현상은 ‘애테크(아이+재테크)’라는 신조어까지 탄생시켰으며, 제2의 보람 가족을 꿈꾸는 아동 유튜브 채널들이 대거 등장하게 되었다.

이외에도 괴기스러운 스토리의 창작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 계향쓰, 생활 소품 만들기 영상을 올리는 옐언니와 같은 유튜버들이 조회 수 1, 2위를 다투며 연 소득 50억 원 이상을 벌어들이고 있다. 또한 라면 10개를 한 번에 먹어치우는 먹방계의 1위 여성 유튜버는 구독자 1050만 명을 거느리며 한 해에 25억 원씩을 벌어들인다.


SNS에서의 성공, 결코 쉬운 길이 아니다

하지만 SNS 부자들의 성공은 결코 쉬운 것이 아니다. 매일 수많은 동영상이 새롭게 업로드되고 있으며, 1분당 500시간 분량의 동영상이 추가되고 있다. 한 사람이 하루 분량의 새 영상을 모두 보려면 82년이 걸린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콘텐츠의 양은 어마어마하다. 따라서 독창적인 콘텐츠를 만들어야만 접속자들의 시선을 단 몇 초라도 붙들 수 있다. 이 생존경쟁은 매우 치열하다.

작년 우리나라 유튜버 상위 30위 중 15명이 새롭게 자리잡은 점은 이 경쟁의 치열함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이들은 평균적으로 517만 명의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연평균 22억 원의 수익을 올리고 있다. 이는 창작의 고통을 이겨낸 정당한 노동의 대가라 할 수 있다.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