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에서 성공한 사람들의 이야기는 이제 더 이상 새로운 것이 아니다. 축구 스타 크리스티아누 호날두는 그 대표적인 예시다. 호날두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서 뛰던 시절에도 연봉보다 더 많은 수익을 SNS 광고에서 벌었다. 특히 인스타그램에서만 한 해 4000만 달러, 즉 약 500억 원을 벌어들였고, 이는 그의 선수 연봉보다 100억 원 이상 많았다. 이와 같은 성공은 4억 명이 넘는 인스타그램 팔로어 덕분에 가능했다.
유튜브, 부자의 새로운 길
1인 방송 플랫폼인 유튜브는 더 이상 스타만의 무대가 아니다. 좋은 콘텐츠만 만들면 누구나 부자가 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 미국의 지미 도널드슨, 즉 미스터비스트(MrBeast)다. 대학을 중퇴한 그는 25세의 나이에 유튜브 세계 1위 개인 유튜버가 되었다. 그의 기발한 콘텐츠, 예를 들어 남극에서 50시간 살아남기, 마트의 모든 전자 제품 사기, 한국의 ‘오징어 게임’을 재현한 영상 등은 엄청난 인기를 끌었다. 특히 오징어 게임 재현 영상은 무려 3억 회 이상의 조회 수를 기록했다. 그 결과, 미스터비스트는 한 해에 5400만 달러, 약 680억 원을 벌고 있다.
한국의 SNS 스타들, 그들의 성공 비결
한국에서도 SNS를 통해 부를 쌓은 사람들이 있다. 그중 여섯 살 소녀가 짜장 라면을 끓여 먹는 5분짜리 영상으로 아파트 한 채 값을 벌어들인 ‘보람튜브’가 유명하다. 이와 같은 현상은 ‘애테크(아이+재테크)’라는 신조어까지 탄생시켰으며, 제2의 보람 가족을 꿈꾸는 아동 유튜브 채널들이 대거 등장하게 되었다.
이외에도 괴기스러운 스토리의 창작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 계향쓰, 생활 소품 만들기 영상을 올리는 옐언니와 같은 유튜버들이 조회 수 1, 2위를 다투며 연 소득 50억 원 이상을 벌어들이고 있다. 또한 라면 10개를 한 번에 먹어치우는 먹방계의 1위 여성 유튜버는 구독자 1050만 명을 거느리며 한 해에 25억 원씩을 벌어들인다.
SNS에서의 성공, 결코 쉬운 길이 아니다
하지만 SNS 부자들의 성공은 결코 쉬운 것이 아니다. 매일 수많은 동영상이 새롭게 업로드되고 있으며, 1분당 500시간 분량의 동영상이 추가되고 있다. 한 사람이 하루 분량의 새 영상을 모두 보려면 82년이 걸린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콘텐츠의 양은 어마어마하다. 따라서 독창적인 콘텐츠를 만들어야만 접속자들의 시선을 단 몇 초라도 붙들 수 있다. 이 생존경쟁은 매우 치열하다.
작년 우리나라 유튜버 상위 30위 중 15명이 새롭게 자리잡은 점은 이 경쟁의 치열함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이들은 평균적으로 517만 명의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연평균 22억 원의 수익을 올리고 있다. 이는 창작의 고통을 이겨낸 정당한 노동의 대가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