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들의 ‘쉬는 시간’을 기회로 바꿀 정책은?

🟢 쉬는 청년 증가 현황

최근 몇 년간 ‘쉬는 청년’의 숫자가 증가하고 있다. 2020년 44만8000명에서 2022년 39만명으로 감소했던 수치는 다시 상승해 2024년에는 41만8000명을 기록했다.

주요 원인

  • 원하는 일자리 부족
    원하는 직업을 찾지 못한 청년들이 구직 활동을 포기하고 쉬는 상태에 머물고 있다.
  • 고용 둔화 영향
    경제 상황과 고용 시장의 침체가 이러한 현상을 부추기고 있다.

🟡 쉬는 청년의 사회적 영향

청년층 특성

  • 고용 가능성 및 임금 감소
    ‘쉬었음’ 기간이 길어질수록 고용 시장에서의 경쟁력이 떨어지고, 임금 수준도 낮아진다.
  • 고립 및 은둔 가능성 증가
    사회적 관계망에서 단절되며 고립되거나 은둔하는 청년들이 늘어나고 있다.

사회적 비용 증가

  • 생산인구 감소
    노동 가능 연령대에서 이탈하는 인구가 늘어나며 생산성이 저하된다.
  • 청년 고립 문제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 걸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 정책 대안 필요성

유형별 접근의 중요성

단순히 고용을 독려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청년들이 쉬는 이유를 분석하고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 정책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과정이 핵심이다.


🟠 쉬는 청년 5가지 유형

  1. 취준적극형
    • 직장 경험은 없으나 구직 의지는 있음.
    • 진로 불안감으로 쉬고 있는 상태.
  2. 취준소극형
    • 구직 의욕이 떨어진 상태.
    • 지원 방안
      • 학업 중단 예방 및 진로 탐색 지원.
      • 지역 멘토링 프로그램과 청년친화강소기업 홍보.
  3. 이직적극형
    • 기존 직장을 퇴사 후 적극적으로 상향 이직을 모색하는 상태.
  4. 이직소극형
    • 기존 직장을 퇴사 후 계획이 불분명.
    • 지원 방안
      • 부정적 경험 극복 지원.
      • 신입사원 적응 지원 프로그램.
  5. 취약형
    • 경제적, 사회적 취약계층.

🟣 청년 고용 활성화 방안

지역 및 기업의 역할

  • 청년 친화적 조직문화 조성
    청년들이 장기적으로 근속할 수 있는 직장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 ‘청년이 일하기 좋은 직장’ 인증제 도입
    지역 기업과 대학이 연계하여 유인책을 마련해야 한다.

장기적 정책 변화 필요성

  • 교육과 일자리 조건을 전반적으로 개선해야 한다.
  • ‘괜찮은 일자리’를 늘려 청년들의 안정적인 경제활동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 전문가 의견

청년들은 단순히 쉼을 택하는 것이 아니라, 졸업 후 삶의 기회를 고려해 ‘쉬었음’을 결정한다고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역 기반의 괜찮은 일자리를 늘리고, 교육과 일자리 정책을 통합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자체와 기업의 적극적인 협력도 필수적이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