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변화가 사과 재배지에 미치는 영향
기온 상승으로 인해 사과 재배지가 점차 북상하고 있다. 특히 강원도는 사과 재배면적이 2010년 216ha에서 2023년 1679ha로 677% 증가하며 새로운 주요 산지로 떠오르고 있다. 강원도의 대표적인 사과 산지로는 정선, 양구, 홍천, 영월, 평창 등이 있다. 반면, 경북 지역의 사과 재배 농가는 2010년 2만3198호에서 2023년 1만8164호로 22% 감소하였다.
미래 전망을 보면, 2030년대에는 강원과 충북에서만 사과 재배가 가능하며, 2070년대에는 강원도 일부 지역에서만 재배가 가능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강원도 주요 산지의 재배면적을 현재 931ha에서 2030년까지 2000ha로 확대할 계획이다.
🍏 경북, 여전히 높은 사과 생산 비중
기후변화에도 불구하고 경북은 여전히 국내 최대 사과 생산지로 남아 있다. 2023년 기준으로 전체 사과 생산량의 50% 이상을 차지하며, 영주, 청송, 안동, 봉화, 거창 등이 주요 생산지로 꼽힌다. 특히 출하량에서는 국내 전체의 48%를 차지하며 여전히 중요한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기후변화로 인한 장기적인 위기 상황이 지속되면서 생산 기반 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변화하는 사과 품종 트렌드
사과 품종도 기후변화와 소비자 선호도에 따라 변화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후지, 미얀마, 홍로, 아오리(쓰가루), 미시마 등 5대 품종이 전체 출하량과 거래량의 90% 이상을 차지한다. 이 중, 후지 품종의 점유율은 감소하고 있지만, 후지의 개량 품종인 미얀마는 당도가 높고 육질이 치밀해 소비자 선호도가 높아지는 추세다.
신품종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중생종 사과인 시나노골드는 아직 5대 품종 안에 들지 못했으나, 기후와 농업 환경 변화에 따라 점차 거래량이 증가하고 있다.
🌱 사과 재배 조건과 농업계의 대응 방안
사과는 연평균 기온 8~11도, 생육기 평균 15~18도의 서늘한 기온에서 잘 자란다. 현재 사과는 국내 과일 재배 농가의 16.8%를 차지하며, 재배면적도 가장 넓은 과일로 꼽힌다. 그러나 지속적인 아열대화로 인해 사과 재배 가능 지역이 축소되고 있어 대처가 시급하다.
농업계는 다음과 같은 대처 방안을 추진 중이다:
- 품종 개발: 기후 적응형 품종을 연구하고 확대 보급.
- 작물 전환 지원: 기후 변화에 적합한 다른 작물로의 전환 지원.
- 농가 지원 확대: 정부와 농협 중심으로 재배 농가를 위한 지원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