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성경] 창세기 14장 : 📜 아브람과 롯의 이야기: 믿음과 구원의 여정

🕊️ 아브람이 롯을 구하다: 시대적 배경과 역사적 의미

아브람과 롯의 이야기는 창세기 14장에 등장하는 중요한 사건이다. 당시 시대적 배경은 여러 강대국이 서로 동맹을 맺고 전쟁을 벌이던 시기였다. 신아르 임금 아므라펠, 엘라사르 임금 아르욕, 엘람 임금 크도를라오메르, 고임 임금 티드알 등이 이끌었다.

이들은 소돔과 고모라를 포함한 다섯 임금의 연합군에 맞서 싸우며, 전쟁은 시띰 골짜기(소금 바다)에서 벌어졌다. 크도를라오메르의 진군은 강력했고, 라파족, 주즈족, 엠족, 호르족 등 여러 민족을 차례로 격파하며 세력을 확장했다.

🔥 다섯 임금의 반란과 패배

소돔, 고모라, 아드마, 츠보임, 벨라(초아르)의 다섯 임금은 크도를라오메르에 반란을 일으켰으나 패배한다. 특히 소돔과 고모라는 역청 수렁에서 큰 손실을 입으며 도시가 약탈당하고, 소돔 거주자인 롯과 그의 재물이 포로로 잡힌다.


🛡️ 아브람의 구출 작전: 믿음의 실천

롯이 포로로 잡혔다는 소식을 들은 아브람은 318명의 훈련된 장정을 이끌고 단에서 호바까지 야간 작전을 펼친다. 그는 적군을 공격하여 모든 재물을 회수하고 롯과 다른 사람들을 구출한다. 이 작전은 아브람의 용기와 신앙의 실천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이다.


🍞 멜키체덱과의 만남: 축복과 헌신

아브람이 승리를 거두고 돌아오자, 살렘 임금 멜키체덱이 빵과 포도주를 준비해 아브람을 축복한다. 멜키체덱은 “하늘과 땅을 지으신 분, 지극히 높으신 하느님”의 사제로서, 아브람에게 “복을 받으리라”고 선언한다.

아브람은 그의 믿음에 응답하며 전리품의 십분의 일을 멜키체덱에게 바친다. 이 장면은 믿음의 헌신과 신앙의 가치가 드러나는 중요한 부분이다.


⚔️ 소돔 임금의 제안과 아브람의 거절

소돔 임금은 아브람에게 “사람들은 돌려주고 재물은 가지시오”라고 제안한다. 하지만 아브람은 “실오라기 하나라도 당신의 것은 가지지 않겠다”고 맹세하며 거절한다. 이는 자신의 부가 하느님에게서 온 것임을 강조하고, 자신의 믿음을 훼손하지 않으려는 의지의 표현이다.

아브람은 동맹을 맺은 아네르, 에스콜, 마므레의 몫만 인정하며 그들의 노고를 존중한다.


✝️ 아브람 이야기의 현대적 교훈

아브람의 롯 구출과 멜키체덱과의 만남은 믿음, 헌신, 정의의 가치를 가르쳐 준다. 물질적 욕심을 넘어서는 신앙의 실천과 공동체의 연대는 오늘날에도 큰 교훈을 준다.


부엌에서 피어나는 기도의 삶, 부엌의 성자 라우렌시오 수사의 철학

라우렌시오 수사는 17세기 프랑스의 갈메수도원에서 일생을 바친 수도자였다. 갈메수도원은 철저한 규율과 묵상 생활로 알려진 수도 공동체였고, 라우렌시오 수사는 그곳에서 ‘부엌의 성자’로 불리며 일했다. 그의 일상은 매우 단순하고 반복적인 것이었다. 음식을 만들고, 그릇을 씻으며, 부엌을 청소하는 것이 그의 주요 업무였다. 겉으로 보기에는 지루하고 단조로울 수 있는 이러한 일상 속에서 그는 무엇을 느끼고 있었을까?


여행자의 질문: 단조로운 일상 속 불만은 없는가?

한 여행자가 라우렌시오 수사를 만나 이야기를 나누던 중, 그에게 질문을 던졌다. “수사님, 다른 분들은 가르치거나 전도하며 큰 역할을 하고 있는데, 수사님은 평생 부엌에서 종일 일만 하시는데 불만은 없으신가요?” 여행자의 시각에서는 라우렌시오 수사의 삶이 단조롭고 의미 없이 보였을 것이다. 수도원의 다른 이들은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성경을 가르치고 사람들에게 신앙을 전하는 중요한 임무를 맡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라우렌시오 수사는 단순히 부엌에서 조용히 일하며 지내는 것으로 보였다.

여행자의 질문은 라우렌시오 수사의 진정한 의도를 파악하지 못한 것일 수 있다. 그에게 있어 부엌에서의 시간은 단순한 노동이 아니었다. 그가 어떻게 답할지 궁금해하던 여행자에게 라우렌시오 수사는 아주 짧고도 강렬한 답변을 건넸다.


라우렌시오 수사의 대답: 기도하는 시간이 가장 바쁜 시간

라우렌시오 수사는 미소를 띠며 조용히 답했다. “나는 기도하기 바빠서 불만을 토로할 시간이 없습니다.” 그의 말은 겉으로 보기에는 부엌에서의 반복적인 업무일지라도, 그 안에는 깊은 신앙의 의미가 담겨 있음을 암시했다. 그가 하는 모든 행동은 단순한 일이 아닌 기도였으며, 그에게는 일상이 곧 신과의 교감이었다.

그는 일상 속 작은 행동마다 기도와 마음을 담았다. 청소를 할 때면 그는 “하느님, 이곳을 동산처럼 아름답게 해주소서”라고 속삭였다. 부엌이 단순히 음식을 준비하는 공간이 아니라, 그가 기도와 정성을 담아 하느님의 동산처럼 가꾸는 장소였다.

설거지를 할 때도 그는 그저 그릇을 닦는 데 그치지 않았다. 그는 “이 그릇에 복이 가득하게 해주소서”라고 기도하며, 그릇을 사용하는 이들에게 하느님의 축복이 전해지길 바랐다. 라우렌시오 수사는 자신이 하는 모든 행위가 누군가에게 복과 은총이 되기를 원하며 부엌에서 정성스럽게 일했다.

또한, 음식을 준비하며 그는 “이 음식을 먹는 이에게 은총이 가득하게 하소서”라고 기도했다. 그의 음식은 단순히 허기를 채우는 수단이 아니라, 그가 기도와 사랑으로 만든 하느님의 축복 그 자체였다.


기도가 일상이 된 삶

라우렌시오 수사는 그의 대답처럼 기도하는 시간을 가장 소중히 여기며, 부엌에서의 모든 순간을 신과의 대화로 채웠다. 그에게는 청소, 설거지, 요리라는 일상의 반복이 아닌, 하느님께 은총을 구하는 기도의 시간이었으며, 그렇게 모든 시간이 기도로 가득 찬 삶이었다.

그의 일상은 겉으로 보기에는 단조로웠지만, 실제로는 그 어느 때보다 의미 있고 바쁜 시간이었다. 부엌에서의 모든 순간이 하느님과의 대화로 이어졌고, 그렇기에 그는 기도하는 시간 외에 남는 시간이 없다고 말할 수 있었다. 라우렌시오 수사의 삶은 단순한 노동이 아닌, 기도로 채워진, 깊은 신앙의 발로였다.

그가 보여준 것은 단순한 신앙적 봉사가 아닌, 일상의 순간을 통해 하느님과 끊임없이 소통하고, 그 순간을 성스럽게 만드는 것이었다. 라우렌시오 수사는 그 자체로 신앙의 깊이를 보여준, 부엌에서 기도로 살아가는 성자였다.

십자가의 길 가톨릭 기도서

십자가의 길 가톨릭 기도서

(아무 때나 바칠 수 있지만 특별히 사순시기 금요일과 성금요일에는 마땅히 바쳐야 한다.)
(먼저 깊이 뉘우치고 아래의 기도를 바친다.)

╋ 주 예수님,
◎ 저희를 위하여 온갖 수난을 겪으신
주님의 사랑을 묵상하며
성모님과 함께
십자가의 길을 걷고자 하나이다.
저희에게 죄를 뉘우치고
주님의 수난을 함께 나눌 마음을 주시어
언제나 주님을 사랑하게 하시며
성직자들을 거룩하게 하시고
모든 죄인이 회개하도록 은혜를 내려주소서.

(제1처로 가며)

◎ 어머니께 청하오니 제 맘속에 주님 상처 깊이 새겨주소서.

제1처 예수님께서 사형 선고 받으심을 묵상합시다.

╋ 주님께서는 십자가로 온 세상을 구원하셨나이다.
◎ 예수 그리스도님,
(깊은 절을 하며)
경배하며 찬송하나이다.

구세주 예수님,
저희를 위하여
아무런 죄도 없이 극심한 모욕과 사형선고를 받으셨으니
죄인들이 마땅히 받아야 할 영원한 벌에서
저희를 구원하소서.
(잠깐 묵상한다.)
(주님의 기도, 성모송, 영광송.)

(제2처로 가며)

◎ 어머니께 청하오니······.

제2처 예수님께서 십자가 지심을 묵상합시다.

╋ 주님께서는 십자가로 온 세상을 구원하셨나이다.
◎ 예수 그리스도님, 경배하며 찬송하나이다.

구세주 예수님,
저희를 사랑하신 까닭에
이 무거운 십자가를 기꺼이 지고 가셨으니
저희도 주님을 사랑하며
주님께서 허락하시는 모든 십자가를
기꺼이 지게 하소서.
(잠깐 묵상한다.)
(주님의 기도, 성모송, 영광송.)

(제3처로 가며)

◎ 어머니께 청하오니······.


제3처 예수님께서 기력이 떨어져 넘어지심을 묵상합시다.

╋ 주님께서는 십자가로 온 세상을 구원하셨나이다.
◎ 예수 그리스도님, 경배하며 찬송하나이다.

구세주 예수님,
무거운 십자가에 눌려 넘어지시는
고통과 모욕을 당하셨으니
저희가 언제나 주님을 변함없이 섬기며
죄에 떨어지는 일이 없게 하소서.
(잠깐 묵상한다.)
(주님의 기도, 성모송, 영광송.)

(제4처로 가며)

◎ 어머니께 청하오니······.

​​


제4처 예수님께서 성모님을 만나심을 묵상합시다.

╋ 주님께서는 십자가로 온 세상을 구원하셨나이다.
◎ 예수 그리스도님, 경배하며 찬송하나이다.

구세주 예수님과 성모 마리아님,
괴로운 십자가의 길에서 서로 만나시어
사무치는 아픔을 겪으셨으니
저희 마음에 사랑을 북돋아 주시어
주님과 성모님을 사랑하는 데에
장애 되는 모든 것을 물리치게 하소서.
(잠깐 묵상한다.)
(주님의 기도, 성모송, 영광송.)

(제5처로 가며)

◎ 어머니께 청하오니······.

​​

제5처 시몬이 예수님을 도와 십자가 짐을 묵상합시다.

╋ 주님께서는 십자가로 온 세상을 구원하셨나이다.
◎ 예수 그리스도님, 경배하며 찬송하나이다.

구세주 예수님,
시몬이 주님을 도와 십자가를 졌으니
저희도 주님께서 맡겨주시는 십자가를
날마다 기꺼이 지고 가게 하소서.
(잠깐 묵상한다.)
(주님의 기도, 성모송, 영광송.)

(제6처로 가며)

◎ 어머니께 청하오니······.


제6처 베로니카, 수건으로 예수님의 얼굴을 닦아드림을 묵상합시다.

╋ 주님께서는 십자가로 온 세상을 구원하셨나이다.
◎ 예수 그리스도님, 경배하며 찬송하나이다.

구세주 예수님,
나쁜 무리가 주님의 얼굴에 침을 뱉고
주님을 업신여기며 모욕하였듯이
저희도 죄를 지을 때마다
주님의 얼굴을 더럽히는 것이오니
통회의 눈물로
주님의 얼굴을 씻어드리게 하소서.
(잠깐 묵상한다.)
(주님의 기도, 성모송, 영광송.)

(제7처로 가며)

◎ 어머니께 청하오니······.


제7처 기력이 다하신 예수님께서 두 번째 넘어지심을 묵상합시다.

╋ 주님께서는 십자가로 온 세상을 구원하셨나이다.
◎ 예수 그리스도님, 경배하며 찬송하나이다.

구세주 예수님,
저희를 위하여 두 번째 넘어지시는 고욕을 당하셨으니
주님을 한결같이 섬기지 못하고
다시 죄에 떨어져
주님의 사랑을 저버리는 저희에게 자비를 베푸시어
다시는 세속과 육신의 간교한 유혹에 빠지지 않게 하소서.
(잠깐 묵상한다.)
(주님의 기도, 성모송, 영광송.)

(제8처로 가며)

◎ 어머니께 청하오니······.


제8처 예수님께서 예루살렘 부인들을 위로하심을 묵상합시다.

╋ 주님께서는 십자가로 온 세상을 구원하셨나이다.
◎ 예수 그리스도님, 경배하며 찬송하나이다.
구세주 예수님,
저희 죄로 상처를 받으시고
온몸이 헤어지셨으니
저희에게 풍부한 은총을 내리시어
지난날에 지은 모든 죄를 뉘우치며
주님의 품을 찾아 들게 하소서.
(잠깐 묵상한다.)
(주님의 기도, 성모송, 영광송.)

(제9처로 가며)

◎ 어머니께 청하오니······.


제9처 예수님께서 세 번째 넘어지심을 묵상합시다.

╋ 주님께서는 십자가로 온 세상을 구원하셨나이다.
◎ 예수 그리스도님, 경배하며 찬송하나이다.

구세주 예수님,
무거운 저희 죄에 눌리시어
세 번이나 무참히 넘어지셨으니
그 수난의 공로를 저희에게 나누어 주시어
저희가 이미 지은 죄에서 다시 일어나게 하소서.
(잠깐 묵상한다.)
(주님의 기도, 성모송, 영광송.)

(제10처로 가며)

◎ 어머니께 청하오니······.

제10처 예수님께서 옷 벗김 당하심을 묵상합시다.

╋ 주님께서는 십자가로 온 세상을 구원하셨나이다.
◎ 예수 그리스도님, 경배하며 찬송하나이다.

구세주 예수님,
병사들이 난폭하게 주님의 옷을 벗길 때에
살이 묻어나는 극도의 고통을 당하셨으며
죄수로 군중 앞에 서시는 모욕을 당하셨으니
저희가 모든 죄를 벗어버리게 하소서.
(잠깐 묵상한다.)
(주님의 기도, 성모송, 영광송.)

(제11처로 가며)

◎ 어머니께 청하오니······.


제11처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못박히심을 묵상합시다.

╋ 주님께서는 십자가로 온 세상을 구원하셨나이다.
◎ 예수 그리스도님, 경배하며 찬송하나이다.

구세주 예수님,
알몸으로 십자가에 못박혀 달리셨으니
저희도 주님과 같이
몸과 마음을 희생제물로 봉헌하게 하소서.
(잠깐 묵상한다.)
(주님의 기도, 성모송, 영광송.)

(제12처로 가며)

◎ 어머니께 청하오니······.

제12처 예수님께서 십자가 위에서 돌아가심을 묵상합시다.

╋ 주님께서는 십자가로 온 세상을 구원하셨나이다.
◎ 예수 그리스도님, 경배하며 찬송하나이다.

구세주 예수님,
저희를 위하여 십자가 위에서 숨을 거두셨으니
저희도 십자가에 못박혀
다시는 저희 자신을 위하여 살지 않고
주님을 위하여 살게 하소서.
구세주 예수님,
혹시라도 영원히 주님을 떠날 불행이 저희에게 닥칠양이면
차라리 지금 주님과 함께 죽는 행복을 내려주소서.
(잠깐 묵상한다.)
(주님의 기도, 성모송, 영광송.)

(제13처로 가며)

◎ 어머니께 청하오니······.


제13처 제자들이 예수님 시신을 십자가에서 내림을 묵상합시다.

╋ 주님께서는 십자가로 온 세상을 구원하셨나이다.
◎ 예수 그리스도님, 경배하며 찬송하나이다.

구세주 예수님,
주님의 시신을 십자가에서 내려 품에 안으신
성모님의 전구를 들으시어
저희도 성모님 품안에서
효성스러운 자녀로 살다가
마침내 그 품안에서 죽게 하소서.
(잠깐 묵상한다.)
(주님의 기도, 성모송, 영광송.)

(제14처로 가며)

◎ 어머니께 청하오니······.

제14처 예수님께서 무덤에 묻히심을 묵상합시다.

╋ 주님께서는 십자가로 온 세상을 구원하셨나이다.
◎ 예수 그리스도님, 경배하며 찬송하나이다.

돌무덤에 묻히신 구세주 예수님,
저희가 주님의 죽음을 생각하며
언제나 깨끗한 마음으로 정성을 다하여
사랑의 성체를 받아 모시게 하소서.
(잠깐 묵상한다.)
(주님의 기도, 성모송, 영광송.)

현대사회에서의 순교, 우리에게 어떤 의미일까?

순교의 의미

순교란 종교를 위해 자신의 생명을 바치는 것을 의미했다. 특히 그리스도교에서 순교는 주님의 존재를 증거하는 중요한 행위였다. 생명을 바치는 것뿐 아니라, 죽음 앞에서도 예수님을 증언하는 것이 순교의 본질이었다. 그래서 순교자들은 단순히 죽음을 맞은 사람이 아닌, 주님의 증인으로서 그 믿음을 실천한 사람들이었다.

우리는 순교자들과는 다른 시대에 살고 있지만, 우리의 삶 속에서도 증인의 역할을 맡을 수 있다. 세례를 통해 다시 태어난 우리는 매일의 삶 속에서 예수님을 드러내고 그분을 증언하는 것이 중요했다. 이것이 현대적 의미의 순교일 것이다.

증인의 삶, 예수님을 따르다

예수님을 따른다는 것은 자신을 버리고, 자신의 십자가를 지고 그분을 따르는 것을 의미했다. 이 과정에는 두 가지 중요한 단계가 있었다.

첫 번째는 자신을 버리는 것이었다. 하느님을 가장 우선하여 생각하고, 그분의 뜻에 따라 살아가는 삶을 선택하는 것이었다. 하느님을 중심에 두고, 자신의 욕망을 내려놓는 이 과정이 곧 증인의 삶의 시작이었다.

두 번째는 자신의 십자가를 지는 것이었다. 삶 속에서 만나는 고난과 역경을 외면하지 않고 받아들이며, 예수님을 따르는 삶을 살라는 의미였다. 이는 단순히 고통을 견디는 것이 아니라, 예수님의 사랑과 희생을 따라가는 적극적인 선택이었다.

현대사회의 순교

현대사회에서 순교는 예전처럼 육체적 죽음을 맞이하는 것이 아닐 수 있었다. 그러나 우리는 자신을 비우고 예수님으로 채워가는 삶을 통해 현대적인 순교를 실천할 수 있다. 나의 말과 행동을 통해 예수님의 사랑과 희생을 드러내는 것이 바로 이 시대의 순교였다.

매 순간 나 자신을 덜어내고, 그 빈자리에 예수님을 채우며 살아가는 것. 이러한 삶의 실천이야말로 우리가 매일 할 수 있는 순교의 방식일 것이다.


해시태그

#현대사회 #순교 #종교적의미 #예수님따르기 #증인의삶 #자기희생 #십자가 #신앙 #하느님우선 #고난과역경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