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총리 네타냐후, 국민보다 자신을 지켰다

이스라엘과 하마스 전쟁 발발

최근 하마스의 이스라엘 공습으로 수많은 민간인 사상자가 발생했다. 중동에서 최강의 군사력을 자랑하는 이스라엘이 재래식 무기를 사용하는 하마스의 공격에 속수무책으로 당한 것은 큰 의문을 낳았다. 많은 사람들이 이스라엘의 군사력이 왜 이처럼 무력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이해하려면 지난 수년간 이스라엘의 정치 상황과 군사적 대응력 저하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특히, 이스라엘 총리 베냐민 네타냐후의 권력 유지와 정치적 위기 대응 방식이 문제의 근원 중 하나로 꼽힌다.


권력 유지에 집중한 네타냐후

베냐민 네타냐후는 2019년 뇌물 혐의로 기소된 바 있다. 외국 사업가로부터 3억 원에 달하는 뇌물을 받은 혐의로 법정에 서게 되었고, 그 이후로 그의 권력 유지는 끊임없는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네타냐후는 자신의 개인적 위기를 국가적 위험으로까지 발전시키며 의회와 인사권을 활용해 방어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는 2020년 면책특권 부여를 요청하며 연정 파트너였던 중도파 청백당의 베니 간츠 대표와의 약속을 저버렸다. 두 사람은 18개월씩 총리직을 번갈아 맡기로 했지만, 네타냐후는 의회를 해산시키고 총선 재실시를 유도했다. 이러한 정치적 계산 속에서 이스라엘은 불안한 상황을 겪고 있었다.


극우 정당과의 연정과 도발

네타냐후는 자신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반(反)이슬람 성향의 울트라 극우 정당 오츠마 예후디트와 연정을 맺었다. 그 결과, 이타마르 벤그비르와 같은 극단적인 인물에게 안보장관직을 맡기는 결정이 내려졌다. 벤그비르는 과격한 행동으로 인해 유죄 판결을 최소 8번 받은 인물이며, 그의 행동은 미국조차 기피하는 대상이었다.

벤그비르는 올해 초 동예루살렘에 있는 이슬람 성지 알아크사를 무턱대고 방문해 아랍권의 격렬한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하마스는 이에 대해 보복을 천명했다. 그 결과, 하마스의 “알아크사 홍수” 공습이 발생하며 이스라엘의 안보는 더욱 위태로워졌다.


사법 무력화와 국민 반발

이스라엘 대법원은 헌법재판소의 역할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하지만 네타냐후는 자신의 권력 비대화를 이유로 대법원의 권한을 대폭 줄이는 사법 무력화 법안을 지난 7월 관철시켰다. 이는 국민들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으며, 수백만 명이 거리로 나와 시위에 나섰다. 또한, 국방장관이 이에 반발하며 사표를 제출하는 등 이스라엘 내부의 혼란은 커져만 갔다.

심지어 모사드와 신베트와 같은 첩보기관에서도 네타냐후의 정책에 대한 반대 기류가 형성되었고, 이로 인해 이스라엘의 안보에 구멍이 생기게 되었다. 이 틈을 타 하마스는 기회를 놓치지 않고 공습을 감행했다.


전시 비상 내각과 극우 정당의 역할

전쟁이 발발하자 네타냐후는 전시 비상 내각을 구성했지만, 국민들의 비난은 그치지 않았다. 그는 여전히 극우 정당과의 연정을 유지하며 권력을 지키려는 모습을 보였다. 전쟁 이후에도 네타냐후는 총리직 유지를 위해 극우 정당과의 연정이 여전히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네타냐후는 국민의 안전보다 자신의 정치적 생존을 우선시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의 행보는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도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방어책 마련에 집중했으며, 이는 이스라엘 국민들에게 큰 실망을 안겼다.


국가적 위기 속 네타냐후의 태도

네타냐후는 끊임없이 ‘다음 자리’에 대한 생각을 하고 있으며, 국민 대신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방탄”에 집착하고 있다. 그의 행적을 되돌아보면,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도 스스로의 권력 유지를 위한 선택들을 반복해온 것을 알 수 있다. 이번 전쟁을 통해 네타냐후의 태도와 그의 정치적 계산이 다시금 비판의 도마 위에 오르게 되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