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과 하마스의 전쟁 발발
최근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무장단체 하마스 간의 전쟁이 발발하며 민간인 사상자가 속출했다. 하마스의 공습으로 인해 많은 이스라엘 시민들이 희생되었고, 이로 인해 이스라엘 군사력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중동 최강의 군사력을 자랑하는 이스라엘이 상대적으로 재래식 무기를 사용하는 하마스에 왜 이렇게 무력하게 당했는지에 대한 원인 중 하나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지목되고 있다.
네타냐후의 권력 유지와 “사법 리스크”
네타냐후 총리는 2019년 뇌물 혐의로 기소되었다. 외국 사업가에게 3억 원에 달하는 뇌물을 받고 그 대가로 편의를 봐준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그의 개인적인 위기는 국가적인 위험으로 확대되었다. 의회와 인사권을 적극 활용하며 방어에 나선 그는, 2020년에 면책특권 부여를 요청하고 총리직을 중도파 청백당 대표 베니 간츠와 18개월씩 번갈아가며 맡기로 한 약속을 배신했다. 이에 따라 의회 해산과 총선 재실시를 유도하며 자신의 권력을 유지하려는 노력을 이어갔다.
청백당의 한 간부는 뉴욕타임스(NYT)와의 인터뷰에서 “네타냐후가 ‘내가 다음 검찰총장을 임명해야 해서 어쩔 수 없다’고 말했다”며 충격적인 상황을 전했다. 그의 정치적 방탄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네타냐후는 반(反)이슬람 성향의 울트라 극우 정당(오츠마 예후디트)과 연정 협상을 추진했으며, 그들의 대표 이타마르 벤그비르에게 안보장관직을 맡겼다. 벤그비르는 최소 8번의 유죄 판결을 받은 과격 인물로, 미국조차 그를 기피하고 있다.
도발적인 행동과 그 결과
특히 벤그비르는 올해 초 동예루살렘의 이슬람 성지 알아크사를 무턱대고 방문하여 아랍권의 거센 반발을 샀고, 하마스는 이에 대해 즉각적인 보복을 천명했다. 그 결과로 하마스는 “알아크사 홍수”라는 이름으로 대규모 공습을 감행했으며, 이로 인해 이스라엘은 큰 피해를 입었다. 아이러니하게도 안보장관이 되어서 이스라엘의 안보에 위협이 된 셈이다.
사법 무력화와 국민 반발
이스라엘 대법원은 헌법재판소 역할을 겸하고 있지만, 네타냐후는 지난 7월 권력 비대화를 이유로 들어 대법원의 권한을 대폭 축소하는 사법 무력화 법안을 통과시켰다. 특히 이 법안은 자신에 대한 총리 해임안이 국민 청원으로 접수되자 이를 막기 위한 조치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대법원 권한 축소에 대한 국민의 반발은 거셌고, 수백만 명이 거리로 나와 반대 시위를 벌였다. 심지어 국방장관이 이에 반발하여 사표를 제출했으며, 모사드와 신베트 같은 첩보기관 내에서도 반대 기류가 형성되었다. 결국 이 틈을 하마스가 놓치지 않고 공격에 나서게 된 것이다.
전시 비상 내각과 비난
전쟁이 발발하자 네타냐후는 전시 비상 내각을 구성했지만, 여전히 벤그비르를 내각에 남겨두려 한다는 사실에 대한 비난이 이어지고 있다. 전쟁 이후에도 총리직을 유지하기 위해 그는 여전히 극우 정당과의 연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모든 상황에서 국민보다 자신의 정치적 방어와 권력 유지에 더 집착하는 모습은 국민의 분노를 사고 있다. “다음 자리”를 생각하며 국가적 위기 속에서도 자신을 지키는 네타냐후의 행보는 비판받을 만한 이유가 충분하다.
이스라엘이 직면한 안보 위협은 그를 둘러싼 정치적 계산의 결과일 뿐 아니라, 네타냐후 개인의 사법 리스크를 해결하려는 무리한 시도에서 비롯된 부분도 크다. 이스라엘 국민이 아닌 자신의 정치적 생명을 우선시한 그의 행적은 재검토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