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메가3와 인지기능 개선 효과 연구
분당서울대병원 김기웅 교수팀이 40대 이상의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오메가3 섭취와 인지기능 개선 효과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기존 연구들이 주로 심혈관계 질환 예방에 초점을 맞췄던 것과 달리, 이번 연구는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오메가3 적정 섭취량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김기웅 교수팀은 메타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40대 이상 무작위로 선별된 중장년층의 오메가3 섭취와 인지기능 사이의 상관관계를 규명했다. 메타분석은 특정 주제에 대해 기존 연구들을 선별하여 종합하는 방법으로, 이번 연구에서는 1386편의 논문 중 24편을 최종 선정해 분석했다. 연구 대상은 치매가 없는 40대 이상 9,660명이었으며, 연구 기간은 3개월에서 36개월, 오메가3 하루 복용량은 230mg에서 4,000mg에 이르렀다.
오메가3의 주요 성분과 기능
오메가3는 EPA, DHA 등 지방산을 주요 성분으로 하는 지방산으로, 다양한 건강 효능이 있다. 이 지방산은 혈관을 보호하며,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수치를 정상화하고 항염증 및 항혈소판 작용으로 혈관 건강에 도움을 준다. 또한 신경발달 기능을 촉진하고, 인지기능을 개선하는 효과도 있다.
기존 연구는 주로 심혈관계 질환 예방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이번 연구는 오메가3의 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규명하며, 특히 중년 이후의 인지기능 관리에 중요한 섭취량을 제시했다.
오메가3 섭취량과 인지기능 개선 효과
연구 결과, 하루 500mg 이상의 오메가3 섭취가 집행기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집행기능이란 목표를 설정하고 계획을 수립하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행동을 조절하는 능력으로, 여러 인지기능을 제어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오메가3 섭취를 시작한 첫 12개월 동안 집행기능 향상 효과가 크게 증가했으며, EPA 성분을 하루 420mg까지 섭취했을 때 효과가 두드러졌다.
오메가3 섭취 가이드라인과 연구 의의
이번 연구는 오메가3 섭취량과 기간에 따라 중년 이후의 집행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최초로 연구한 것으로, 구체적인 섭취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는 기존의 심혈관계질환 예방에서 나아가 인지기능 관리에까지 오메가3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는 결과다.
김기웅 교수는 오메가3가 풍부하게 함유된 고등어, 등푸른 생선, 계란, 아몬드, 두부 등의 식품을 식사 패턴에 포함시키면 건강한 뇌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연구는 SCIE 국제의학학술지인 ‘BMC Medicine'(IF 9.3)에 게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