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벌이 사라진다면, 우리도 사라질까?
꿀벌은 인류에게 단순히 꿀을 제공하는 곤충이 아니다. 그들은 사회적 동물로서 정교한 군집을 이루며 수백만 년 동안 지구에서 살아왔다. 이 작은 곤충들이 수많은 꽃을 방문하며 꽃가루를 옮기는 활동은 우리의 식량 생산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꿀벌의 숫자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이 현상이 지속된다면, 우리의 생태계와 식량 시스템도 심각한 위협을 받게 될 것이다.
꿀벌은 약 1만 5000~2만 마리의 개체로 이루어진 군집에서 살아간다. 이 군집의 중심에는 여왕벌 한 마리가 있으며, 일벌과 수벌이 각자 맡은 역할을 충실히 수행한다. 일벌들은 채집, 정찰, 전투, 건축, 육아 등 다양한 업무를 나누어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흔히 알려진 것과 달리, 군집에서 여왕벌이 모든 활동을 지배하는 것은 아니다. 꿀벌 군집은 집단 지성을 발휘해 중요한 결정을 내린다. 특히 새로운 집터를 찾을 때, 정찰대가 후보지를 물색한 후 민주적인 방법으로 최적의 장소를 선택하는 과정은 꿀벌 군집의 놀라운 특징 중 하나다. 이들의 이러한 행동은 3000만 년 동안 종을 유지해 온 비결로, 인류 역사에 비하면 무려 150배에 달하는 세월을 자랑한다.
그러나 지금, 꿀벌은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지난해에만 전국적으로 78억 마리, 전체 꿀벌 개체 수의 17.8%가 사라졌고, 올해는 100억 마리 이상이 추가로 자취를 감출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 현상은 비단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다. 유럽에서는 매년 꿀벌 개체의 30%, 남아프리카에서는 29%, 중국에서는 13%가 사라지고 있다. 이대로 가면 2035년쯤에는 꿀벌이 지구에서 영원히 사라질지도 모른다는 유엔의 경고까지 나왔다.
꿀벌이 사라지는 이유는 분명하지 않다. 살충제 사용, 도시화, 기후 온난화, 대기 오염 등 대부분 인간 활동에서 기인한 요인들이 꿀벌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꿀벌이 사라지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가장 큰 문제는 수분(受粉) 활동에 막대한 지장이 생긴다는 것이다. 전 세계 식량 생산량의 약 75%는 꿀벌 등의 곤충이 꽃가루를 옮기며 이루어진다. 특히 세계 식량의 90%를 차지하는 100대 주요 작물 중 87종이 꿀벌의 수분 매개에 의존한다.
국내에서 꿀벌의 수분 매개 가치만 해도 연간 5조 8000억 원 이상으로 평가된다. 이는 벌꿀 생산액의 15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전 세계적으로는 꿀벌이 농업에 기여하는 가치가 253조 원(약 2030억 달러)에 달한다. 꿀벌이 사라진다면 식물은 열매를 맺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해 초식동물들도 피해를 입게 된다. 결국 인간도 연쇄적인 피해를 입게 된다. 일부 전문가들은 벌이 사라지면 그로부터 4년 뒤 인류도 존재하지 못할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한다.
이러한 꿀벌의 멸종 위기를 막기 위한 근본적인 방법은 무엇일까? 답은 건강한 서식지를 조성하는 것이다. 꿀벌이 꿀과 꽃가루를 찾아 날아드는 밀원 숲을 조성하고, 생태계와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노력을 강화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우리가 꿀벌을 보호하는 것은 곧 우리 자신의 생존을 지키는 일이기도 하다.
#꿀벌 #멸종위기 #수분매개 #사회적동물 #생태계보전 #밀원숲 #꿀벌군집 #유엔경고 #식량위기 #지구환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