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층 쉬었음 인구 증가
쉬었음 인구란 무엇인가
쉬었음 인구는 특별한 사유나 교육훈련 없이 노동시장에 참여하지 않는 사람들을 의미한다. 이는 국가적으로 잠재적인 노동력 손실을 뜻하며, 경제적 손실과 연결된다.
2023년 청년층 쉬었음 인구 증가
2022년 3분기 기준 33만6000명이었던 쉬었음 인구는 2023년 3분기에 42만2000명으로 25.4% 증가했다. 비경제활동인구 중 쉬었음 비중도 22.7%에서 29.5%로 상승했다.
취업 경험에 따른 구분
- 취업 경험 없는 청년 감소
2022년 3분기 3만9000명에서 2023년 3분기 3만6000명으로 감소했다. - 취업 경험 있는 청년 증가
같은 기간 29만7000명에서 38만6000명으로 크게 증가했다. 이는 일단 취업을 했다가 노동시장에서 이탈하는 사례가 늘어난 것을 의미한다.
📉 청년층 쉬었음 원인
일자리 미스매치
청년들은 상대적으로 교육 수준이 높고, 일자리 선택 기준도 높다. 하지만 현재 고용의 질이 이러한 기준에 부합하지 않아 일자리 미스매치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영향
- 팬데믹 이후 청년 고용의 질은 큰 폭으로 하락했다.
- 하향취업률(학력 대비 낮은 수준의 일자리에 취업한 비율)이 20% 이상으로 상승하며, 만족도 낮은 취업 사례가 증가했다.
구조적 문제
고용 시장의 질적 회복이 부족하다. 청년들은 자발적으로 일자리를 선택하는 경향이 강해 고용 환경이 이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
⚠️ 쉬었음 상태의 장기화 문제
근로 의지 감소
쉬었음 상태가 장기화될수록 근로 의지는 점차 낮아진다. 이는 실제 취업률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니트(NEET)족 가능성 증가
니트족은 교육, 취업 활동 없이 노동시장에서 이탈한 집단을 말한다. 일본의 사례에서 보듯, 거품경제 붕괴 이후 증가한 니트족은 경기 회복 이후에도 취업 시장 복귀에 실패해 장기적인 문제를 야기했다.
사회적, 경제적 악영향
쉬었음 상태가 지속되면 노동공급이 줄고, 이는 국가 경제 성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대책과 정책 방향
청년층 노동시장 유인 정책
- 맞춤형 일자리 제공과 고용의 질 개선이 필요하다.
- 청년들의 기준에 부합하는 일자리 창출이 중요하다.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강화
- 청년들이 직업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다.
- 이를 통해 노동시장 재진입을 촉진해야 한다.
해외 사례 참고
일본의 니트족 문제 해결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한국 실정에 맞게 적용할 필요가 있다.
정책적 지원 필요성 강조
청년 고용 문제는 구조적인 개선이 필요하며, 장기적인 노동시장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