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가 공무원을 기피하는 이유는?

공무원의 역할과 인식 변화

공무원은 흔히 ‘공복(公僕)’이라고 불리며, ‘나라의 심부름꾼’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는 공무원이 국민의 혈세로 운영되고, 국민을 위해 봉사하는 존재임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공무원에게는 도덕적인 잣대가 매우 엄격하게 적용된다. 한때는 이러한 책임감과 안정성을 이유로 취업준비생들이 대거 공무원 시험에 몰려들었지만, 최근 MZ세대 사이에서 공무원에 대한 선호가 급감하고 있다.


한때 인기 직종이었던 공무원, 그 경쟁률의 변화

과거에는 취업준비생의 40% 이상이 공무원 시험에 매달릴 정도로 공무원 채용 시험은 치열한 경쟁을 자랑했다. 예를 들어 2019년 국가공무원 9급 평균 경쟁률은 39.2대 1에 이르렀으나, 2023년에는 22.8대 1로 크게 낮아졌다. 또한, ‘노병우(노동부, 병무청, 우정사업본부)’라 불리는 특정 부처의 경우 민원인 응대가 많아 상대적으로 인기가 낮으며, 경쟁률 또한 평균을 밑돌고 있다.

더불어 임용 3년 차 이하의 퇴직자 수는 2017년 2,647명에서 2022년 8,492명으로 급증하며, 공직의 매력 감소가 수치로 드러났다. 이러한 변화는 ‘고시촌’의 공실 사태와 주변 상권 붕괴 위기로까지 이어지고 있으며, 공무원 입시 업체의 성장세도 한풀 꺾여 ‘챔프스터디’나 ‘에듀윌’과 같은 교육업체의 수익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MZ세대의 공무원 기피 이유

1980년대 초부터 2000년대 초에 태어난 MZ세대는 과거 세대와는 다른 가치관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낮은 초봉, 수직적인 조직문화, 획일적인 업무체계에 대해 불만이 많다. MZ세대는 워라밸을 중시하며, 과도한 업무량과 민원인 응대를 꺼리는 성향이 강하다.

과거에는 부처의 위상과 파워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으나, 현재는 ‘중국산고기(중소벤처기업부,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고용노동부, 기획재정부)’와 같이 인기 없는 부처를 가리키는 신조어가 생길 정도로 MZ세대는 특정 부처를 선호하지 않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또한, 과거에 최고 선호를 받던 기획재정부 대신 국세청이나 행정안전부를 선택하는 재경직 수석 합격자의 변화도 눈에 띈다.


공무원연금 개편이 미친 영향

공무원연금 개편안은 젊은 세대의 공무원 기피에 큰 영향을 미쳤다. 본인기여금은 7%에서 9%로 2%포인트 인상됐으며, 지급률은 1.9%에서 1.7%로 0.2%포인트 낮아졌다. 이러한 변화는 연금의 매력을 떨어뜨리고, 젊은 공무원들의 사기를 저하시켰다.


정부의 대응 노력과 공직사회의 변화 필요성

젊은 인재들의 공직 기피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인사혁신처는 ‘찾아가는 공직박람회’를 13년 만에 기존 방식에서 탈피해, 전국의 대학과 고등학교를 순회하며 3개월 동안 35회에 걸쳐 박람회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임용 3년 미만 근무자를 대상으로 한 합격 후기 및 근무경험 특강을 통해 젊은 세대가 공직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을 접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공직사회의 변화가 절실한 이유는 공직 기피로 인해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젊은 인재를 위한 공직의 매력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정책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

MZ세대의 특징과 소비 트렌드: 디지털 환경을 이끄는 그들의 문화

MZ세대는 현대 사회에서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를 통칭하는 용어로, 디지털과 트렌드를 선도하는 이들의 특성과 소비 패턴이 주목받고 있다. 밀레니얼 세대는 1980년대 초부터 2000년대 초에 걸쳐 태어난 사람들을 지칭하며, Z세대는 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초반 사이에 태어난 이들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밀레니얼 세대는 1980년에서 1995년 사이에 출생한 이들이며, Z세대는 1996년에서 2000년 사이에 출생한 이들을 포함한다.


MZ세대의 디지털 우선주의와 트렌드 추구

MZ세대의 특징 중 가장 두드러지는 점은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고 모바일 기기를 우선적으로 사용한다는 것이다. 이들은 최신 트렌드와 남과 다른 이색적인 경험을 추구하며, 이를 통해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하고자 한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MZ세대는 유통시장에서 중요한 소비 주체로 부상하고 있으며, SNS를 기반으로 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MZ세대의 소비 특성: 개인의 행복과 경험 중심

MZ세대는 집단의 이익보다는 개인의 행복을 중시하며, 소유보다는 공유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들은 단순히 상품을 구매하는 것보다 경험을 소비하는 것을 선호하며, 이 과정에서 ‘미닝아웃’ 소비를 지향한다. 미닝아웃 소비란 자신이 믿는 신념을 표현하고, 사회적 가치나 특별한 메시지를 담은 제품을 구매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환경 보호에 대한 관심이 있다면 친환경 제품을 구매하는 식이다.

또한, MZ세대는 ‘플렉스’ 문화를 즐기며, 자신의 성공이나 부를 과시하는 행위를 당연하게 여긴다. 이들은 고가의 명품 제품에 주저하지 않고 지갑을 열며, 이를 통해 자신의 사회적 위치와 가치를 드러내고자 한다.

헬조선에서 킬조선으로: 한국 사회의 불편한 진실

한국 사회를 비판하는 영화 **’한국이 싫어서’**는 장강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고 있다. 이 작품은 2015년 유행했던 ‘헬조선’ 담론을 배경으로, 한국 사회의 부조리와 현대인들이 겪는 어려움을 생생하게 그려내었다.


‘한국이 싫어서’ 떠난 계나

장강명의 소설 *’한국이 싫어서’*의 주인공인 계나는 한국의 전근대성과 경쟁 사회에서 벗어나기 위해 떠난 인물이다. 2015년 당시, ‘헬조선’이라는 용어는 한국 사회의 압박과 비현실적인 기대를 비판하는 상징적인 표현으로 주목받았다. 계나는 “한국이 싫어서 떠난다”며 고된 삶에서 벗어나고자 결심했지만, 이 결단이 과연 그에게 진정한 해방을 가져다주었는지는 의문이다. 이 이야기는 최근 영화로도 재구성되며 더욱 많은 이들에게 공감을 불러일으켰다.


헬조선에서 킬조선으로

현재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0.72로 급락했고, 2017년 IMF 총재였던 크리스틴 라가르드는 한국의 저출산 문제를 “집단 자살”로 비유할 정도로 심각하게 경고했다. 대한민국 사회의 근본적인 문제점은 단순히 출산율에 그치지 않고, 그 뿌리 깊은 전근대적 요소에서 기인하고 있다.


MZ세대의 현실

경쟁력 없는 인간들

계나는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것이 없고, 경쟁력도 없는 사람으로 묘사된다. 한국 사회에서는 부모의 외모, 학벌, 직업 등이 후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계승 사회가 공공연하게 존재한다. 경쟁력 없는 이들은 살아남기조차 힘든 사회에서 계나는 어떻게든 벗어나고자 발버둥친다.

라떼세대와의 충돌

이른바 ‘라떼는 말이야’ 세대는 과거 산업화와 민주화를 이끌어왔지만, 현재 젊은 세대에게는 그들의 노력 부족을 지적하며 세대 간 갈등을 키운다. 특히 영화 속 동태탕 장면은 융통성 없는 직장 상사와 젊은 세대 간의 충돌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상징적 장면이다.


저출산과 탈조선의 이유

지옥철과 저출산

계나의 출퇴근 생활은 ‘지옥철’로 상징되는 서울 지하철 2호선의 혼잡함을 잘 보여준다. 출퇴근 전쟁 속에서 한국 사회의 비현실적인 출산 장려 정책은 도리어 비판을 받고 있다.

계나의 2등 시민 생활

영화 속 계나는 열심히 살지만 기회를 얻지 못해 좌절한다. 남자친구 지명은 한국을 “열심히 사는 사람에게 기회의 땅”이라고 말하지만, 계나가 느끼는 현실은 기회조차 쉽게 주어지지 않는 사회의 잔인함을 대변한다.


킬조선의 부조리와 문제점

한국 사회의 표준 압박

한국 사회는 경쟁력 없으면 사람 대접조차 받기 힘든 구조다. 다른 사람의 불행이 나의 행복을 좌우하는 듯한 분위기는 결국 사회 전체의 냉혹함을 더욱 강화한다. 이와 달리 호주에서는 아르바이트 생활도 괜찮고, 직업 간 임금 격차가 크지 않은 사회적 평등이 상대적으로 강조된다.

스포츠계의 전근대적 구조

영화는 스포츠계의 부조리함도 조명한다. 러시아로 귀화한 빅토르 안이 소치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따고, 2024년 파리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딴 안세영이 “분노가 원동력”이라며 승리했지만, 이는 한국 사회의 변하지 않는 부조리 속에서 얻어진 결과일 뿐이다.


탈출구는 없는가?

장강명의 애국 소설

영화는 자살이나 이민이 결코 해결책이 아님을 강조하며, 한국을 ‘복원시켜야 할 공동체’로 바라본다. 문제를 외면하지 않고 마주하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나의 해방일지’에서 찾는 대안

‘나의 해방일지’ 속 염미정과 구 씨의 이야기는 추앙을 통해 자기 존중과 삶의 회복을 경험하는 과정을 그린다. 이는 계나가 궁극적으로 필요로 했던 해결책일지도 모른다.

자존심을 배려하는 사회

계나는 “주변 사람들이 웃는 걸 보면 기분이 좋아진다”고 말한다. 모두의 자존심을 배려하는 사회적 변화가 필요하며, 이는 계나가 꿈꾸었던 ‘더 나은 한국’의 모습일 것이다.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