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을 부르는 아침, 앤드류 후버만의 모닝 루틴

앤드류 후버만, 그의 연구와 인기 상승

앤드류 후버만(Andrew D. Huberman)은 스탠포드 대학교 교수이자, 뇌의 작동 방식을 연구하는 과학자이다. 그는 자신의 모닝 루틴을 과학적인 접근으로 정리하며, 이를 통해 집중력과 건강을 개선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후버만의 연구와 루틴은 그의 팟캐스트 ‘Huberman Lab’과 유튜브 채널을 통해 큰 인기를 얻었고, 현재 유튜브 구독자 수는 약 418만 명에 달한다.


뇌의 각성 수준을 높이는 과학적인 접근

후버만의 모닝 루틴은 뇌의 각성 수준을 높여 하루 동안의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데 중점을 둔다. 그의 루틴은 집중력, 의지력 향상뿐 아니라 신체와 정신 건강의 개선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접근은 단순한 루틴이 아닌, 과학적 연구와 실험을 바탕으로 한 체계적인 방법이다.


후버만의 모닝 루틴 단계별 설명

  1. 일어남 시간
    후버만은 오전 6시에서 6시 30분 사이에 일어난다. 일어난 즉시 자연광을 받기 위해 야외로 나가는 것이 그의 루틴의 첫 단계이다.
  2. 자연광과 산책
    그는 일어난 후 10~30분 동안 자연광을 흡수하며 산책을 한다. 맑은 날에는 약 5분, 흐린 날에는 10분, 비오는 날에는 20~30분간 자연광을 쬐며, 이는 낮 동안 활력을 높이고 밤에 숙면을 돕는다.
  3. 커피 섭취 지연
    후버만은 일어나자마자 커피를 바로 마시지 않는다. 그는 90~120분 후에 커피를 섭취하는데, 이는 오후2~3시경 피로감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준다.
  4. 소금물 마시기
    수분 공급을 위해 450~900g의 물에 소금 반 티스푼을 섞어 마신다. 이는 전해질을 보충하고 뇌 기능을 활성화하는 데 필수적이다.
  5. 90분 집중 업무
    하루 중 가장 집중력이 높은 아침 시간에 90분 동안 업무에 몰두한다. 후버만은 “90분간 얼마나 많은 일을 할 수 있는지 해보면 놀라게 될 것”이라고 전한다.
  6. 금식
    그는 아침 식사를 거르고 오전 11시에서 12시까지 금식을 한다. 12~16시간 동안의 금식은 체내 염증을 줄이고, 질환 위험을 낮추는 데 효과가 있다. 후버만은 10년 이상 이를 실천해왔다.
  7. 운동
    후버만의 루틴에서 운동은 필수적이다. 그는 웨이트 트레이닝, 달리기, 자전거 타기 등을 통해 심박수를 높이고, 신체와 정신의 활력을 돋운다.
  8. 찬물 샤워
    찬물 샤워를 통해 에너지를 활성화시키고 집중력을 높인다. 찬물 샤워는 아드레날린과 에피네프린을 빠르게 상승시키며, 도파민 분비량을 2.5배 증가시킨다. 이때 도파민은 서서히 감소하며 3시간 동안 효과가 지속된다.

유튜버들이 증명한 루틴의 효과

  1. Goal Guys
    유튜버 ‘Goal Guys’는 후버만의 아침 루틴을 실천한 후 비타민 D와 콜레스테롤 수치가 개선되었으며, 에너지 수준과 기분이 모두 좋아졌다고 전했다.
  2. 사샤 부롱
    유튜버 사샤 부롱 또한 후버만의 루틴을 통해 학업 성적이 향상되었으며, 자신 있게 이 루틴이 자신의 삶을 바꾸었다고 말한다.

도파밍: 즐거움을 찾는 당신의 끝없는 여정

도파밍이란 무엇인가?

도파밍(Dofarming)은 도파민(Dopamine)과 파밍(Farming)의 합성어였다. 도파민은 흥분과 쾌락을 경험하면 뇌에서 분비되는 신경전달물질로, 우리에게 즐거움과 보상을 느끼게 해준다. 파밍은 주로 게임에서 아이템을 수집하는 행위를 의미하는데, 이러한 의미가 결합되어 ‘도파밍’은 사람들이 흥분과 쾌락을 느끼기 위해 다양한 경험을 적극적으로 찾아다니는 사회 현상을 말한다.

도파밍 사회의 사례

우리 사회는 도파밍이 주류가 된 사회라 할 수 있었다. 그 대표적인 예는 짧고 자극적인 콘텐츠의 소비였다. 유튜브 쇼츠, 인스타그램 릴스, 틱톡 등 짧은 시간 동안 자극적인 내용을 보여주는 숏폼 콘텐츠가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사람들은 이러한 짧은 영상들을 끝없이 스크롤하며 계속해서 새로운 자극을 찾는다.

또 다른 사례로는 자극적인 경험을 선호하는 현상이 있었다. 매운 음식을 누가 더 잘 먹는지 경쟁하는 챌린지나, 무속인의 연애를 주제로 한 지상파 방송 프로그램까지 등장한 것을 볼 때, 더 강렬하고 자극적인 경험을 추구하는 경향이 커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도파밍이 트렌드가 된 이유

1. 영상 언어의 발달

도파밍이 트렌드가 된 첫 번째 이유는 영상 언어의 발달 때문이었다. 모바일 기기가 주요 소통 수단으로 자리 잡으면서 영상이 글보다 더 많은 정보를 직관적이고 단순하게 전달하는 매체로 발전했다. 특히 스마트폰의 보급은 이러한 변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2. 잘파세대의 영향

도파밍 현상의 중심에는 잘파세대(Zalpha generation)가 있었다. 잘파세대는 90년대 후반 이후 출생한 Z세대와 2010년 이후 출생한 알파세대를 아우르는 용어로, 이들은 개성이 강하고 희소성 있는 콘텐츠를 선호했다. 이들이 성장하면서 숏폼 플랫폼의 사용 시간이 넷플릭스와 같은 OTT 플랫폼의 사용 시간을 크게 초과했다. 2023년 8월 기준으로 숏폼 플랫폼의 월평균 사용 시간이 46시간 29분인 반면, OTT 플랫폼은 9시간 14분에 불과했다.

3. 시성비(시간 대비 성능)

또 다른 중요한 이유로는 시성비(시간 대비 성능)를 중시하는 경향이 있었다. 즐길 거리는 많지만 정작 시간은 부족한 현대인들은 콘텐츠 소비와 시간의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했다.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의 조사에 따르면, ‘시간이 가장 큰 자원’이라는 응답이 82.4%에 달했다. 이처럼 많은 이들이 시간의 가치를 소중하게 여기고 있으며, 효율적인 콘텐츠 소비 방법을 선호했다. 2배속으로 영상을 보거나, 줄거리만 요약한 영상을 시청하는 방식은 도파밍 현상을 잘 보여준다.

도파밍의 부작용

도파밍은 재미와 쾌락을 주지만, 그로 인한 부작용도 무시할 수 없었다.

1. 도파민 중독

도파민이 적절하게 분비될 때는 행복감과 보상감을 느끼게 하지만, 과도하게 분비되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이러한 도파민 중독은 과잉 행동을 유발하거나 심각한 경우 조현병과 같은 이상 증세로 이어질 수 있었다.

2. 청소년의 자존감 저하

도파밍의 또 다른 부작용은 청소년의 자존감 저하였다. SNS를 통해 다른 사람들과 자신을 비교하면서 비관하거나 박탈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SNS에서 잘 사는 다른 사람을 보며 자존감이 낮아진다’는 응답이 20대에서는 40.8%, 30대는 34.4%, 40대는 31.2%, 50대는 28.8%로 나타났으며, 나이가 어릴수록 자존감 저하를 경험하는 비율이 높아졌다.

도파민 디톡스, 도파밍의 해독제

도파밍의 부작용에 대한 대응으로 ‘도파민 디톡스(Dopamine Detox)’가 새로운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 디톡스란 ‘해독’을 의미하며, 도파민 중독에서 벗어나기 위한 의도적인 행동을 말한다. 가령 ‘자기 전에 스마트폰 사용 금지’, ‘메신저 알람 끄기’, ‘명상 시간 갖기’ 등 작은 변화들이 도파민 디톡스의 방법이었다. 이러한 시도들은 충동적인 행동을 예방하고, 자기 조절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결론

도파밍은 현대 사회의 자극적인 콘텐츠와 쾌락을 향한 끊임없는 추구를 잘 보여주는 현상이었다. 그로 인해 재미와 흥분을 얻을 수 있지만, 지나치면 중독과 같은 부작용으로 이어질 수 있었다. 따라서 도파민 디톡스를 통해 균형을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 도파밍과 디톡스 사이에서 우리는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은 각자의 삶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