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못된 독서습관
많은 사람들이 책을 읽을 때 너무 급하게 읽거나, 개관을 하지 않고 한 줄 한 줄 짚어가며 읽는 경우가 있다. 이는 독서의 본질을 이해하지 못하고 표면적인 정보를 흡수하는 데 그치게 한다. 독서를 소극적으로 잡지를 읽듯이 하는 것은 깊이 있는 사고를 방해하며, 밑줄을 너무 많이 긋거나, 너무 적게 긋는 것도 비효율적이다. 또한 독서 과정 중에 음미하거나 요점을 암송하는 단계를 생략하면 내용의 기억이 단기적일 수밖에 없다.
SQ3R의 개요
SQ3R은 깊이 있는 이해와 오랜 기억을 위해 설계된 독서법이다. 1940년대 Robinson이 개발한 이 독서법은 책을 읽기 전에 방향감각을 잡고, 독자의 주요 아이디어와 상호관계를 조직화하며, 망각을 지연시키기 위한 방법들을 포함하고 있다. 개관을 통해 전체 구조를 파악하고, 질문을 통해 저자의 주요 아이디어를 끌어내며, 이를 자신의 언어로 시각화하는 과정이 중요하다.
Survey(개관)
책을 읽기 전에 개관을 통해 방향감각을 잡는 것이 중요하다. 예습 단계에서 책의 머리말, 목차, 제목, 소제목, 장의 요약 등을 훑어보며, 글쓴이가 무엇을 이야기하려고 하는지 파악해야 한다. 그래프나 그림 자료도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이들 역시 빠르게 전체 내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Question(질문)
개관한 내용을 바탕으로 육하원칙에 따라 의문문을 만들어보는 것이 중요하다. ‘알고 있는 것(Know)’, ‘알고 싶은 것(Want)’, ‘배운 것(Learning)’의 KWL 기법을 활용하여, 독서 중 집중력과 흥미를 높이고 비판적인 관점에서 내용을 평가할 수 있다.
Read(읽기)
읽을 때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적극적인 탐색이 필요하다. 밑줄을 긋거나 여백에 메모하며 주요 단어와 구절을 파악하고, 핵심어에 집중한다. 또한, 책의 그래프나 그림 등 시각 자료를 분석하여 저자의 논지를 이해하고, 불명확한 부분을 다시 읽는 것도 중요한 독서 습관이다.
Recite(암송)
책을 읽은 후, 주요 요점을 자신의 말로 암송하는 과정은 독서의 핵심이다. 질문에 대한 해답을 머릿속에 정리하고, 그 내용을 자신의 경험이나 선지식과 연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이 과정에서 실패한다면 다시 읽기를 통해 내용을 재확인해야 한다.
Review(복습)
복습은 독서의 마지막 단계이다. 각 단원의 핵심을 서너 문장으로 요약하고, 주요 소주제별 핵심 정보를 암송하며, 시험이나 다른 글을 읽기 전에 답을 작성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다른 사람에게 이야기하거나 글을 써보는 방법도 매우 유용하며, 내용을 장기 기억으로 가져가는데 도움을 준다.
SQ3R 독서법 훈련
SQ3R 독서법을 실제로 훈련하기 위해서는 사전 검토 단계를 거친 후, 책의 1장을 선택하여 단계별로 적용해보는 것이 좋다. 첫 번째로 개관을 통해 전체 흐름을 파악하고, 의문문을 만들어 호기심을 자극한 후, 주요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며 읽는다. 그 후 밑줄을 긋고 암송하며, 마지막으로 복습 단계를 거치면서 자신의 독서법을 점차 발전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