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해수면 변화와 빙하 감소의 영향
2050년까지 인천 해수면이 약 4cm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빙하가 녹으면서 지구 해수면이 평균적으로 약 3.6cm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대한민국 인천은 그보다 약 10% 높은 상승률을 보일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결과는 빙하 감소가 해수면 상승에 미치는 영향을 잘 보여준다.
극지연구소의 연구 결과
대한민국 극지연구소는 1992년 이후 남극과 그린란드의 빙하량을 관측해왔다. 연구진은 빙하 감소가 지속될 경우 해수면이 어떻게 변할지를 통계적 기법을 통해 예측했으며, 그 결과 남극과 그린란드 빙하의 감소가 현재 해수면 상승의 주요 요인임을 밝혔다. 특히 그린란드의 빙하는 남극보다 약 1.5배 더 큰 해수면 상승 기여도를 보였다.
지역별 해수면 변화 예측
극지방 주변에서는 해수면이 하강하는 현상이 나타나는 반면, 중위도와 저위도 지역에서는 반대로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먼바다에서는 이러한 반작용으로 인해 평균보다 더 큰 폭의 해수면 상승이 관측될 수 있으며, 특히 인천은 과잉 상승 현상이 두드러질 것으로 전망된다.
극지방의 빙하 상황과 예측
남극과 그린란드에는 총 65m 두께의 빙하가 쌓여 있으며, 최근 들어 그 손실량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연구진은 향후 남극 스웨이츠 빙하와 같은 취약 지역을 정밀하게 관측할 계획을 세우고 있으며, 이를 통해 빙하 손실이 해수면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예정이다.
해수면 상승의 전망과 대응 방안
이번 해수면 상승 예측치는 최소한의 값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만약 온도 상승을 1.5도 이내로 억제하는 감축 목표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해수면 상승은 더 심각해질 가능성이 있다. 특히 중위도와 저위도 연안 국가들은 이로 인해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 연구 인프라를 통해 예측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대응 방안이 마련될 예정이며, 이번 연구 결과는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에 발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