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의 식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편리한 음식들. 하지만 너무 자주 먹으면 우리의 뇌 기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가? 바로 ‘초가공식품’에 대한 이야기다.
초가공식품이란 무엇인가?
초가공식품이란 식품첨가물이 다량으로 들어가 가공과 변형이 많이 이루어진 식품을 말한다. 이들 식품에는 설탕, 소금, 지방, 인공 색소 등이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그 함량이 높아 우리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자, 소시지, 패스트푸드, 인스턴트식품 등이 대표적인 초가공식품이다.
초가공식품이 뇌 기능에 미치는 영향
초가공식품을 자주 섭취하면 전반적인 뇌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특히 인지 기능과 집행 기능이 영향을 받는다. 이는 심장질환, 대사증후군 등 건강 문제와 더불어 비만 위험을 증가시켜 뇌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뇌 기능이 떨어지면 기억력, 언어능력 등 여러 가지 정신적인 측면에서 부정적인 변화가 생기며, 목표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능력인 집행 기능 또한 저하된다.
연구: 초가공식품과 뇌 기능 저하
브라질 상파울루 대학교 연구팀은 약 1만 1000명의 브라질 성인 남녀(평균 연령 52세)를 약 8년간 추적 관찰하며 초가공식품 섭취와 뇌 기능 간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연구진은 일일 칼로리 총섭취량 중 초가공식품이 차지하는 비중에 따른 인지 기능과 집행 기능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일일 칼로리의 20% 이상을 초가공식품으로 섭취한 그룹은 초가공식품 섭취량이 가장 낮았던 그룹에 비해 전반적인 인지 기능이 약 28%가량 빠르게 감소했고, 집행 기능은 약 25% 빠르게 저하되었다. 특히 35~59세 성인에서 이러한 변화가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인지 기능 저하는 뇌의 미세혈관 병변이나 뇌 용적 감소, 또는 지나친 초가공식품 섭취로 인한 전신 염증이 원인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인지 기능이 저하되면 일상적인 업무 수행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식단 관리의 중요성
노년기에 뇌 건강을 관리하는 데 있어 중요한 것은 식단 관리이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곤칼브스(Goncalves) 박사는 의료진이 환자들에게 조리된 식품이나 간식을 구매해 먹기보다는 신선한 재료를 사용해 집에서 요리하는 것을 권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식단 관리는 뇌 기능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중년기에 생활 방식과 식습관을 건강하게 바꾸는 것은 노년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를 예방하는 좋은 방법이다.
결론
초가공식품을 자주 섭취하면 뇌 기능이 저하되고, 일상적인 삶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특히 중년기에 이러한 음식 섭취를 줄이고 신선한 재료로 건강한 식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의 뇌를 건강하게 지키기 위해 오늘부터라도 초가공식품 대신 신선한 음식을 선택해 보자.
해시태그
#초가공식품 #뇌기능저하 #건강한식단 #인지기능 #집행기능 #식단관리 #중년기건강 #뇌건강 #생활습관 #신선한음식